
채널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올인원 AI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 이 사내 업무 보조 AI 서비스인 팀 알프에 MCP 호스트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기능은 외부 협업 툴과 데이터를 연결해 업무 자동화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생성형 AI가 외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불러오거나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 표준이다.
지난해 11월 미국의 AI 기업 앤트로픽이 클로드(Claude)를 통해 제안한 이 기술은, AI가 단순히 질문에 답변하는 것을 넘어 문서를 저장하거나 이메일을 발송하는 등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다.
채널톡의 팀 알프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노션, 리니어 등 외부 툴과 연동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팀 알프에게 “노션에 저장해줘”라고 요청하면, 해당 정보가 자동으로 노션 문서에 기록된다.
복잡한 시스템 전환 없이 단일 창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해져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졌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이번 기능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연어 명령 기반으로 설계했다.
별도의 개발 지식이 없는 비개발자도 “채널톡 설치해줘”나 “회원정보 연동해줘” 같은 문장만 입력하면 관련 설정을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채널코퍼레이션은 자연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MCP 서버 환경을 구축해, 비즈니스 고객이 AI 기능을 보다 쉽게 도입하고 실시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상담 업무 외에도 마케팅, 기획, 운영 등 다양한 부서에서 채널톡을 활용한 AI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윤태훈 채널코퍼레이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현재 글로벌 생성형 AI 에이전트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속도전이 치열한 상황”이라며, “고객 업무 효율화를 위한 혁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앞으로도 빠른 의사결정과 도전적인 스타트업 정신으로 자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