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에서 아들을 향해 사제 총기를 발사해 숨지게 한 60대 남성이 유튜브 영상을 통해 직접 총기 제작법을 익힌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온라인 콘텐츠가 실제 살인 범죄에 활용된 사실이 알려지며, 허술한 플랫폼 관리 실태와 함께 사제 무기 정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살인 혐의로 긴급 체포된 A 씨는 63세로, 경찰 조사 과정에서 “유튜브에서 총기 제작법을 배웠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금속 파이프를 이용해 직접 만든 사제 총기로 쇠구슬 형태의 산탄 3발을 연달아 발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인 그의 아들이 사망했다.
경찰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쇠구슬은 비비탄 수준의 크기로 매우 작았지만, 발사된 산탄이 인체를 관통할 정도의 위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총기는 용도에 맞게 금속 파이프를 절단하고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A 씨는 사건 발생 직후 현장에서 체포됐다.
이번 사건은 사제 총기 관련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이 살인과 같은 중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다.
실제로 유튜브나 해외 커뮤니티에는 ‘사제 총기 제작’, ‘불법 무기 조립 방법’ 등 키워드로 검색하면 수많은 영상과 설명 자료가 노출되고 있다.
대부분 해외에서 게시된 콘텐츠지만, 한글 자막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어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실정이다.
이에 경찰은 당시를 계기로 온라인상에 유포되는 사제 총기 정보를 집중 단속하고 있다.
해외 플랫폼을 통한 확산은 여전히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국내법상 사제 총기 제조법을 게시하는 행위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대부분의 콘텐츠가 해외에서 유통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차단이나 처벌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해외 플랫폼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무기 관련 검색어에 대한 접근 제한과 신고 체계를 강화하는 제도 개선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경찰은 이번 사건의 구체적 범행 동기와 A 씨가 제작한 사제 총기의 구조, 온라인에서 참고한 콘텐츠의 출처 등을 추가로 조사 중이다.
관련 기사보기 ▶ 인천 사제총기 사건, 자택엔 폭발물까지…경찰 긴급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