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지역 맞춤형 과학치안’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최적화 분석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연구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 단속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는 목적이다.
15일 자치경찰위원회는 교통사고 발생 이력과 단속 실적 등 정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안전 취약지에 무인단속장비를 전략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분석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특히 도로 구조, 교통량 변화, 주변 시설물 변동 등을 반영해 기존 장비의 효과성을 재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장비의 이전 설치도 고려된다.
이번 연구에는 지역 교통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최적의 장비 위치, 필요한 대수, 연차별 예산 등을 산정할 예정이며, 분석 결과는 대구시의 교통안전 정책 수립 및 예산 편성에도 직접 반영된다.
기존 무인단속장비 설치지역 중 교통환경 변화로 실효성이 떨어진 장소는 교통사고 발생 현황과 변화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실질적인 단속 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으로 장비를 재배치할 방침이다.
이 같은 재배치는 장비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교통사고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자치경찰위원회는 올해 이륜차 위반이 잦거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지역을 중심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를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동구 봉무 지하차도 등은 설치 대상지로 우선 검토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주민 의견과 현장 실태조사 결과를 적극 반영해,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의 체감 안전도를 높인다는 것이 자치경찰의 방침이다.
이중구 대구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장비 설치 차원을 넘어 지역 실정에 맞는 과학적 교통안전 정책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말했다.
그는 “교통사고 위험지역에 장비를 집중 배치하고, 효과가 미흡한 장비는 과감히 재배치해 효율적 자원 활용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