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중심으로 사이버 위협 대응력을 강화하고 고객의 통신 생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정보보안 분야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15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서울 종로구 센터포인트 광화문에서 열린 ‘KT 고객 안전·안심 브리핑’을 통해 황태선 KT 정보보안실 상무가 공식화했다.
KT는 AI 기반 보안 기술 도입과 글로벌 보안 전문기관과의 협업,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원칙 기반 체계 구축, 보안 전담 인력 확충 등 4대 보안 혁신 과제를 중심으로 정보보안 체계를 전면 재편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보안 투자에는 ▲AI 모니터링 체계 강화 ▲글로벌 컨설팅 확대 ▲정기적 모의 해킹 및 취약점 점검
▲외부 위협에 대한 선제 대응 체계 구축 등이 포함된다.
KT는 자체 보안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단순 방어를 넘어 예측형 보안과 자동 차단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특히, KT는 AI 기술을 활용한 고객 피해 예방 서비스도 강화한다. 하반기 중에는 기존의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에 이어, 음성인식과 딥보이스 분석 기능이 포함된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2.0’을 국내 통신사
최초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승인을 거쳐 제공되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공동으로 수집한 2만5천여 건의 보이스피싱 음성을 학습한 AI 엔진을 통해 통화 중 문맥을 분석하고, 위험 통화에 대해 ‘주의’ 또는 ‘경고’
알림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KT는 탐지 정확도를 95%까지 끌어올리고, 약 2천억 원 규모의 범죄 피해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 기반 스팸 차단 시스템도 고도화된다. KT는 스팸 메시지 내 URL을 가상환경에서 접속해 악성 여부를
판단하고, 변종 스미싱 유형도 식별할 수 있는 ‘AI 클린메시징’ 기술을 운영 중이다.
올 하반기에는 투자 유도형, SNS 유도형 등 신규 스팸 유형을 탐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 필터링 구조도
강화할 예정이다.
KT는 디도스(DDoS) 공격 대응 체계도 확대한다.
연내 클린존의 방어 용량을 2배로 증설하고, 다음 달부터는 고객이 공격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AI 기반 위협 패턴 학습 시스템을 도입해 신종 디도스 공격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현석 KT Customer부문장(부사장)은 “고객들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과 스팸 등을 AI 기술로 실시간 대응하도록 노력하겠다”며 “KT는 기본에 충실하기 위해
정보 보안 분야에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보안 기준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