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 는 공항철도에 국내 철도운영기관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이음 5G 특화망을 상용화하며 철도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구축은 공항철도의 핵심 업무 환경에 5G 특화망을 실질적으로 적용한 첫 사례로, 차세대 철도 통신 체계인 5G-R 시대의 전환을 앞당기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항철도는 하루 평균 28만6천여 명이 이용하고, 지난 5월 기준 누적 이용객 11억 명을 돌파한 수도권 핵심 철도 노선이다.
LG유플러스는 공항철도 검암사옥과 용유 차량기지에 5G 특화망 장비를 설치하고, 준공검사를 마쳤다.
이후 양측은 연내 열차 운행정보를 실시간 송수신하는 차상장비를 5G 기반으로 개조해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기존 공항철도는 LTE-R 무선망을 활용해왔지만, 5G 특화망은 더 빠르고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IoT(사물인터넷) 기반 설비 관리에 최적화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열차 운행 중 발생하는 고장정보, 부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장 중심의 유선 업무 환경에서 무선 기반 환경으로 전환해 기업 내 업무 효율성과 의사소통 체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번 5G 특화망 구축에는 보안 강화 기술도 함께 적용됐다.
LG유플러스는 국내 최초로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반 유심을 도입해 사이버 공격에도 강한 통신 환경을 구현했다.
PQC 기술은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한 차세대 암호화 방식으로, 장기적으로 공공·산업 분야의 정보보호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사업에서 설계부터 장비 설치, 운영 시스템 구축까지 전 과정에 직접 참여한 통합 프로젝트 방식으로 추진했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특화망 구축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공항철도는 향후 5G 특화망을 활용해 열차 정비 데이터의 자동화 수집과 분석,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의 유지보수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박성율 LG유플러스 기업사업혁신그룹장(전무)은 “공항철도의 특화망 구축은 설계부터 장비 적용까지 LG유플러스가 전 과정에 참여한 통합 프로젝트”라며 “공항철도와 협력해 향후 5G-R 체계 전환 등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