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20°C 맑음 서울
서울, 20°C 맑음

검색

Home 사회 악성 임대인으로 피해 본 전세 보증금 1조9000억 원 달해

악성 임대인으로 피해 본 전세 보증금 1조9000억 원 달해

 

악성 임대인
(이미지 출처-AI생성 이미지)

전세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은 악성 임대인이 1177명에 이르며, 이들이 돌려주지 않은 피해 총액이 약 1조9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를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났을 때만 해도 올라온 이름은 126명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등록된 악성 임대인 명단은 급격히 늘어났다.

안심전세포털의 집계에 따르면, 명단에 오른 악성 임대인은 개인 1128명과 법인 49개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평균 피해액은 1인당 16억1000만 원에 달하며, 보증금을 300억 원 이상 반환하지 않은 사례도 10건이나 발생했다.

가장 큰 피해를 유발한 악성 임대인은 울산 남구에 거주하는 A씨(51)로, 그가 반환하지 않은 보증금은 무려 862억 원에 이른다.

이 외에도 강원 원주시에 사는 B씨(32)는 707억 원, 서울 양천구 C씨(43)는 611억 원의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았다.

최연소 악성 임대인은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19세 청년으로, 5억7000만 원의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령 임대인은 경기 파주시에 사는 85세로, 그가 돌려주지 않은 보증금은 3억6000만 원에 달한다. 이처럼 연령대를 불문하고 악성 임대인의 문제가 전국적으로 심각하게 확산되고 있다.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는 작년 12월 910명을 추가로 피해자로 인정했다.

지난해 6월 특별법 시행 이후 인정된 피해자는 총 2만5578명에 달하며, 전체 신청 사례 중 약 72.7%가 피해자로 가결되었다.

피해자의 97.37%는 임차 보증금이 3억 원 이하였으며, 청년층 피해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연령별로 보면, 40세 미만 피해자가 전체 피해자의 74.48%를 차지했고, 20~30대의 피해는 6656건으로 가장 두드러졌다.

주택 유형별로는 다세대주택에서 피해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오피스텔과 다가구 주택, 아파트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악성 임대인의 명단 공개를 통해 전세 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피해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전세 사기 특별법을 통해 피해자를 구제하고 피해 규모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Latest articles

불이 꺼진 마트에 움직이는 무언가가…상습 절도범 검거

대전의 한 마트에서 영업 종료 후 몰래 매장에 침입해 물건을 훔치던 여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청은 17일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마트에…

정부, 집중호우 농작물 침수 피해 복구 대책 마련 착수

이틀간 쏟아진 폭우로 벼, 콩 등 주요 작물이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정부가 신속한 복구 방안 마련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긴급…

상어가족 동해안으로 이사왔다…해경, 피서객에 주의 당부

강원 동해안 해역에 상어가 잇따라 출몰하면서 여름철 해양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육안으로도 포악한 이빨이 식별되는 상어가 낚시어선에 포획되는…

광주 신안교서 60대 남성 급류 실종…폭우 속 수색 이틀째

광주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며 북구 신안교 인근에서 60대로 추정되는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현재까지 이틀째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18일…

More like this

‘골리앗 스트라이커’ 말컹, 울산 HD와 K리그 복귀 선언

K리그 역대 최장신 골잡이 중 하나인 말컹이 울산 HD 유니폼을 입고 6년 5개월 만에 한국 무대로 돌아왔다. 울산 구단은 18일, 올 시즌 후반기 반등을 위한 핵심 카드로 브라질 출신 스트라이커 말컹 영입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순위 반등의 신호탄을 쐈다. 말컹은 K리그에서 유일하게 K리그1과 K리그2에서 동시에 최우수선수상(MVP)과 득점왕 타이틀을 모두 거머쥔 선수다. 2017년 경남FC에서 K리그2 32경기 22골 […]

[건강상식] 체감온도 VS 기온, 왜 다르게 느껴질까?

뉴스에서 기온보다 더 무섭게 들리는 숫자가 있다. 바로 ‘체감온도’다. 같은 30℃라 해도 어떤 날은 더 덥게, 어떤 날은 조금 더 견딜 만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단순히 기온 때문 만은 아니다. 우리가 실제로 느끼는 더위는 바람, 습도, 햇볕 강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기온이란? 기온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공기의 온도를 뜻한다. 기상청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