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민관학 협력 산업안전 프로젝트 본격 추진

0
현대자동차, 산업안전, 상생형 일경험, 민관학 협력, 산업안전 교육, 청년 실무 역량, 산업안전상생재단, 중소기업 안전, 지역 교육 격차, VR 교육 콘텐츠
(사진 출처-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 산업안전, 상생형 일경험, 민관학 협력, 산업안전 교육, 청년 실무 역량, 산업안전상생재단, 중소기업 안전, 지역 교육 격차, VR 교육 콘텐츠
(사진 출처-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정부, 교육기관, 공익재단과 손잡고 산업안전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현대차는 15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본사에서 고용노동부, 산업안전상생재단, 주요 대학과 함께 ‘지속가능한 안전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업안전 분야 민·관·학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상생형 산업 안전 일경험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청년의 산업 안전 실무 역량을 높이고 중소기업의 안전관리 체계 강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다자간 협력의 일환이다.

현대차는 자체 안전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무 중심 교육 환경을 제공하며, 산업안전상생재단은 전문 인력 매칭, 멘토링,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주도하게 된다.

고용노동부는 제도 개선과 재정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현장의 안전 역량을 높이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참여 대학은 유한대, 한국교통대, 원광대, 동의대 등으로 수도권, 중부권, 전라권, 경상권 등 전국 권역별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청년 산업안전 인재 양성에 나선다.

특히 전체 참여자의 75% 이상을 비수도권 청년으로 구성해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와 균형 잡힌 인재 배치를 도모한다.

상생형 산업안전 일경험 프로젝트는 4월부터 12월까지 약 9개월간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위험성 평가, 재해 예방, 안전관리체계 수립 등 실무 중심 내용으로 구성되며,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가상현실(VR) 기반 체험 콘텐츠도 포함된다.

참여 청년에게는 월 100만 원 상당의 수당과 수료증, 우수자 포상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실무 역량을 갖춘 산업 안전 인재를 키우고, 기업 간 안전격차를 줄이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민·관·학이 함께하는 상생형 안전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책임 있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고용노동부의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의 일환으로, 산업안전 분야에서 최초로 ESG 지원형 유형으로 선정됐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중소기업의 작업 환경 개선과 안전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 최초 비영리 산업안전 전문 공익법인인 산업안전상생재단을 설립한 바 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