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타이드 대사체, 항바이러스·조직 재생 효과 동시에 입증

0
펩타이드 대사체, 항바이러스 치료제, 조직 재생 물질, 천연물 기반 치료제, KIST 연구성과, 티모신 β4, 신약 개발, 펩타이드 지지체, 생체재료,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즈
(사진 출처-KIST 제공)
펩타이드 대사체, 항바이러스 치료제, 조직 재생 물질, 천연물 기반 치료제, KIST 연구성과, 티모신 β4, 신약 개발, 펩타이드 지지체, 생체재료,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즈
(사진 출처-KIST 제공)

펩타이드 대사체를 활용한 신약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위고비 등 펩타이드 기반 신약이 각광받는 가운데, 천연물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대사체가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진은 이 같은 물질을 개발하고 이를 의료용 생체재료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한형섭 박사,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송대근 박사, 도핑컨트롤센터 권오승 박사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팀은 우리 몸에 존재하는 단백질 ‘티모신 β4’가 분해되며 생성되는 펩타이드 대사체 Ac-Tβ1-17에 주목했다.

이 펩타이드 대사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주요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85% 이상 억제하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람 혈관 세포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세포 성장, 상처 치유, 혈관 생성, 유해 산소 제거 등 조직 회복에 관여하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도 함께 확인됐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대사체를 단순히 치료용 성분에 그치지 않고 실제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생의학용 구조체로 제작했다.

이 펩타이드 지지체는 세포 부착력과 성장 촉진, 혈관 형성 등을 유도해 손상 조직의 회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펩타이드 대사체가 기존 단백질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체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단일 펩타이드로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며 형성되는 대사체가 치료 소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약 개발과 조직 재생 소재 연구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한형섭 박사는 “이번 연구는 단백질 대사체가 신약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향후 다양한 생체 응용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송대근 박사 역시 “천연 유래 생체활성 소재를 활용한 연구를 지속해 항바이러스제, 기능성 생체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즈(Bioactive Materials)’에 게재되었다.

펩타이드 대사체 기반의 신약 및 의료용 생체재료의 실용화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