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오전 8시경,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 하행 승강장에서 장애인 단체의 시위로 열차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와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은 이날 동대문역 방향 혜화역 승강장 5-4 구역에서 장애인 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캠페인을 벌였다.
시위 참가자 중 일부는 휠체어를 열차 내부에 쇠사슬로 고정해 열차 출발을 지연시켰고, 다른 이들은 차 안에서 승객을 향해 장애인의 기본권 보장 필요성을 호소했다.
전장연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우리는 지역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며 “장애인은 여전히 지도상 한 시간 거리를 이동하는 데 몇 시간이 걸리는 현실에 놓여 있다.
출근길에 바쁘시겠지만, 장애인의 삶에 대해 단 한 번이라도 생각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번 시위는 전장연이 주최한 제62차 출근길 지하철 시위로, 장애인의 이동권, 노동권, 교육권을 요구하는 장기적인 캠페인의 일환이다.
출근길 시위는 대중교통 이용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방식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날 역시 혜화역 현장에서는 시위 참여자들과 일부 시민 간 고성이 오가며 긴장감이 고조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열차 운행을 막는 시위 방식이 시민 불편을 가중시킨다며 반발하고 있으며, 또 다른 일각에서는 장애인의 이동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 현실을 알리는 데 필요한 사회적 외침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전장연이 지하철 시위를 벌인 것은 약 1년여 만이다. 이 단체는 2021년 12월부터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장애인 권리 보장을 촉구하는 시위를 지속적으로 전개해왔다.
특히 이번 시위는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시점에서 기획되었으며, 전날에는 종로구 마로니에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촉구하며 1박 2일 노숙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전장연은 거주시설 중심의 장애인 복지 정책을 지역사회 통합 중심으로 전환하고, 중증장애인에 대한 맞춤형 이동 지원과 일자리 확대, 교육 접근성 강화 등 현실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동권은 장애인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 참여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요구 중 하나로 강조된다.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시위로 인해 해당 시간대 혜화역 하행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는 조치를 취하며 운행 정상화를 도모했다.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긴급 대응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간대 이용자들은 예상치 못한 정차 지연과 무정차 운행에 불편을 겪었다.
장애인 단체의 출근길 시위는 반복적으로 공공교통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며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장연은 향후에도 관련 요구가 수용될 때까지 다양한 방식의 캠페인을 이어갈 방침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시위가 장애인 권익 증진을 위한 실질적 정책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