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구글 크롬 매각 시 인수 의향 밝혀

0
오픈AI, 크롬 인수 의향, 챗GPT, 구글 독점 소송, 삼성 협상, 구글 제미나이, AI 브라우저, 구글 크롬 매각, 안드로이드 AI 통합, 법무부 독점 해소
(사진 출처-AI 이미지 생성)
오픈AI, 크롬 인수 의향, 챗GPT, 구글 독점 소송, 삼성 협상, 구글 제미나이, AI 브라우저, 구글 크롬 매각, 안드로이드 AI 통합, 법무부 독점 해소
(사진 출처-AI 이미지 생성)

오픈AI가 미국 법원이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 매각을 명령할 경우 이를 인수할 의향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챗GPT 책임자 닉 털리는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법원에서 열린 구글의 검색 시장 독점 해소 방안 재판에 법무부 측 증인으로 출석해 이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털리 책임자는 “그렇다”고 답하며 “우리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챗GPT가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챗GPT가 크롬에 통합된다면 정말 엄청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중심의 사용자 경험이 어떤 모습인지 사용자에게 직접 체험하게 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법원은 지난해 8월 구글이 온라인 검색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하고 있다는 판결을 내렸고, 미국 법무부는 구글의 독점 해소를 위해 크롬 브라우저 매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판결을 담당한 아밋 메타 판사는 구글이 8월까지 독점 해소를 위한 사업 구조 개편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픈AI는 AI 서비스의 보급 과정에서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로 ‘배포’를 지목했다.

털리 책임자는 애플과는 아이폰에 챗GPT를 통합하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들과는 협상이 진전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과 협상에 큰 진전이 없었던 것은 구글이 스타트업보다 훨씬 많은 자금을 투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리가 노력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계약 조건을 논의하는 단계까지도 가지 못했다”고 밝히며, “우리는 구글과 같은 대기업들에 의해 시장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깊은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털리 책임자는 이어 “매우 강력한 경쟁자들이 소비자와 제품의 접점인 브라우저와 앱스토어를 통제하고 있다”며,

추가로”진정한 선택권이 있어야 경쟁이 이뤄지고 사용자는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날 재판에서는 미국 법무부가 구글이 AI 모델 ‘제미나이’를 갤럭시폰 등에 탑재하는 대가로 삼성에 매월 막대한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구글의 피터 피츠제럴드 플랫폼·기기 파트너십 부사장은 해당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삼성 등 제조사가 제미나이 외에 다른 AI 모델도 자유롭게 탑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