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사칭 사기 사이트 확산…경찰 수사 및 차단 어려움

0
33
사기 사이트, 언론사 사칭, 피싱 부업 사기
(사진 출처-나무위키)
사기 사이트, 언론사 사칭, 피싱 부업 사기
(사진 출처-나무위키)

온라인 쇼핑몰 부업이나 공동구매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피해자들에게 입금을 유도하고 이를 가로채는등 사기 사이트 가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언론사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을 사칭하며 피해 규모가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A언론사를 사칭한 사기 사이트 를 개설한 일당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상표법 위반 등 혐의로 수사 중이다.

이들은 언론사의 사이트 디자인과 자회사 정보를 모방한 사이트를 운영하며 “정규직으로 취업시켜 주겠다”는 명목으로 개인정보를 탈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피해자들을 속이기 위해 이들이 활용한 방식은 다양하다.

먼저 유명 온라인 쇼핑몰을 사칭해 문자와 SNS를 통해 “장소에 상관없이 재택근무로 월 200만~300만 원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이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후 피해자들에게 물품을 주문하고 후기를 남기면 수수료를 주겠다고 유도한 뒤 입금을 받은 뒤 사라지는 방식으로 피해를 양산했다.

이후 언론사를 사칭해 신입 정규직과 부업 알바 모집으로 수법을 변경하며 범행을 이어갔다.

피해 언론사는 긴급 대응에 나섰다. 언론사  “보도로 수십 년 쌓아 올린 브랜드 가치가 사기 사이트로 인해 크게 훼손됐다”라며

 “홈페이지에 관련 사기 사이트 관련 주의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구독자들에게 ‘직원을 모집하는 게 맞냐’는 전화가 계속 와 업무에 지장이 크다”고 전했다.

언론사는 현재 공식 홈페이지에 ‘피싱 사이트 주의 및 안전 이용 안내’를 게시하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문제는 도메인 차단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사기 사이트를 반복 개설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찰 관계자는 “해외 IP 주소를 이용해 단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도  “신고된 사기 사이트를 차단 조치하고 있지만, 물리적으로 개설자들을 검거하지 않는 이상 특정 집단이 해외 IP 주소를 이용해 새로운 사이트를 개설하는 걸 사전에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따르면 작년에 적발된 사기 쇼핑몰 사건은 77건, 피해액은 33억6,500만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김경미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팬데믹 이후 비대면 경제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최근 유명 기관의 이름을 도용한 각종 사기 사이트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시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과거 ‘누누티비’ 운영자 검거 사례를 참고해 피의자 검거와 범죄 집단의 차단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