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서 ‘미음완보’ 전시…디지털로 재현된 한국 전통정원

0
전통정원 전시, 미음완보, 국가유산청 전시, 세종문화회관 전시, 한국 전통조경, 디지털 미디어아트, 전통정원 실감형 콘텐츠, 지리산 불일폭포 전시, 창덕궁 후원 체험, 명승 별서정원
(사진 출처-국가유산청 제공)
전통정원 전시, 미음완보, 국가유산청 전시, 세종문화회관 전시, 한국 전통조경, 디지털 미디어아트, 전통정원 실감형 콘텐츠, 지리산 불일폭포 전시, 창덕궁 후원 체험, 명승 별서정원
(사진 출처-국가유산청 제공)

서울 도심에서 한국 전통정원을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국가유산청과 세종문화회관은 오는 4월 27일까지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1관에서 미음완보 전통정원을 거닐다 전시를
공동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12월 서울 일민미술관에서 열린 전시를 확장한 것으로,
짧은 전시 기간에 대한 아쉬움을 반영해 다시 마련됐다.

이번 전시는 전통조경 디지털 정밀실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전통정원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미디어아트로 재현했다.

특히 전통정원의 구조와 자연경관을 실감형 콘텐츠로 구현해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체험을 제공한다.

전시는 산수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격물치지 정원에서 얻는 아취,
인지제의 자연에 의탁한 정원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산수지락에서는 계단식 툇마루에 앉아
차경 기법으로 구현된 전통정원의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명승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를 재현한
6m 높이의 인터랙티브 폭포 콘텐츠를 통해 도심 속에서 자연을 만나는 체험을 제공한다.

2부 격물치지에서는 미디어매핑을 활용한 영상 투사 기법으로
선조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의 정취를 즐기고 심신을 수양했던 방식을 재현했다.

천원지방 사상에 기반한 방지원도 정원양식과
국가민속문화유산 논산 명재고택의 석가산을 본뜬 3차원 모형도 선보인다.

3부 인지제의에서는 창덕궁 후원의 사계절 변화와
보길도 윤선도 원림, 담양 소쇄원, 담양 명옥헌 원림, 화순 임대정 원림 등
명승으로 지정된 네 곳의 별서정원을 직접 거니는 듯한 체험이 가능하다.

특히 이 콘텐츠는 단순한 그래픽 구현이 아니라
정밀실측 데이터를 활용해 실존하는 정원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전통조경의 보존과 활용을 총괄하는 국가기관으로서
한국 전통정원의 가치를 널리 알릴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통 정원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홍보하는 다양한 전시와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