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개미, 딥시크발 충격·트럼프 관세 전쟁에 투자처 잃어

0
동학개미 관세
(사진 출처 - 한국예탁결제원 제공)

동학개미(주식 투자자)들이 딥시크발 충격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투자처를 잃으며 국내 증시에서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동학개미 관세
(사진 출처 – 한국예탁결제원 제공)

반면, 서학개미들은 미국 증시에서 저가 매수에 나서며 정반대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국내 투자자예탁금은 55조578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주일 전인 24일(54조1443억 원)보다 약 1조4000억 원 증가한 수치다.

연초부터 국내 증시에서 투자금이 빠져나가는 경향이 지속된 가운데,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증권사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고 역시 연초 대비 증가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개인의 CMA 계좌 잔액은 76조8318억 원으로, 연초인 2일(74조6394억 원) 대비 약 2조2000억 원 증가했다.

법인 계좌를 포함한 전체 CMA 잔액은 87조9925억 원으로 나타났다.

CMA는 증권사가 투자자의 자금을 받아 기업어음(CP), 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발생한 수익을 지급하는 금융상품이다.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해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곳이다.

국내 증시에서 대기 자금이 증가한 배경에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의 충격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27일 설 연휴 기간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발표한 AI 모델 V3가 기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AI 개발 비용보다 훨씬 저렴한 수준에서 챗GPT 성능을 능가한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글로벌 증시가 급격한 변동성을 보였다.

연휴가 끝난 31일, 국내 증시도 2500선까지 하락하며 타격을 입었다.

이어 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자동차, 부품 기업 등 수출주를 중심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투자자들은 투자 방향을 결정하지 못하고 자금을 대기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 증시는 하락했지만, 서학개미들은 오히려 저가 매수를 확대하는 흐름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장기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서, 미국 증시를 저가 매수의 기회로 보는 분위기가 확산됐다.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딥시크발 충격이 있었던 지난달 28일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매도액은 9억8090만 달러였던 반면, 같은 날 매수액은 13억2668만 달러로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는 이날 6억6355만 달러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하락장에서 적극적인 매수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발언 이후에도 서학개미들의 매수세는 지속됐다.

3일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매도액은 11억8166만 달러, 매수액은 15억1559만 달러로 3억3393만 달러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에 대한 투자 심리가 여전히 강함을 보여줬다.

동학개미들이 불확실성이 커진 국내 증시에서 투자 방향을 고민하는 사이, 서학개미들은 오히려 미국 증시에서 기회를 노리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며 투자 전략의 차이를 드러냈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