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허위·과장 보험 광고 점검…소비자 피해 방지 조치

금융감독원 이 보험 소비자의 오인을 유발할 수 있는 과장된 광고 문구를 점검하고
부적절한 보험 광고물을 수정·삭제했다.
17일 금융감독원 에 따르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총 1320개의 온라인 보험상품 광고를 점검한 결과,
단정적이고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거나 절판 마케팅을 활용하는 등 부적절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점검 결과 일부 광고는 제한 없이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홍보해 소비자의 오해를 유발했다.
그러나 보험금 지급 조건은 보험상품별로 상이하므로,
소비자는 반드시 상품설명서와 약관을 꼼꼼히 확인한 후 가입해야 한다.
또한 특정 보험사고의 보장 금액만 강조해
해당 보험상품이 전반적으로 높은 보장을 제공하는 것처럼 오인하게 하는 광고도 확인됐다.
보험상품의 보장 금액은 보험사고별로 다르므로 가입 전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한 광고에서는 운전자보험 교통사고 처리지원금 특약이
형사 합의 시 최대 2억 원까지 지급된다고 홍보했으나,
사망 및 중상해 사고가 아닌 경우 실제 지급액은 최대 7000만 원에 불과했다.
보험료가 가입 연령, 납입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돈 만 원’ 등의 표현을 사용해 저렴한 보험료만을 강조하는 광고도 다수 적발됐다.
이외에도 보험상품 판매 중단을 예고하며 조급함을 유발하는 ‘절판 마케팅’ 사례도 많았다.
하지만 실제 판매가 중단되지 않거나 유사한 보장을 제공하는 새로운 상품이 출시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의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 및 보험대리점의 온라인 광고 내부 통제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며 “보험협회와 협력해 다양한 온라인 매체의 허위·과장 광고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