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스드메·산후조리원·영어유치원 46곳 세무조사 착수

국세청이 웨딩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스드메) 업체, 산후조리원, 고액 영어유치원 등
46개 업체를 대상으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결혼, 출산, 유아 교육과 직결되는 이들 업계는 현금 결제를 유도한 뒤 소득을 누락하거나,
불투명한 계약과 가격 책정을 통해 탈세를 해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11일 국세청에 따르면, 이번 조사 대상은
스드메 업체 24곳, 산후조리원 12곳, 영어유치원 등 10곳으로,
전체 탈루액은 2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국세청은 탈루 혐의가 있는 사업자뿐만 아니라 가족 및 관련인의 재산 형성과정까지 면밀히 검증할 방침이다.
국세청은 먼저 불투명한 가격 구조를 악용해 탈세를 저지른 스드메 업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 웨딩 스튜디오는 차명계좌를 활용해 추가금을 수령하고
이를 신고하지 않는 방식으로 소득을 누락했다.
한 업체는 촬영 후 원본·수정본 구입비, 액자비, 장당 추가 비용 등을
현장에서 결제하도록 유도한 뒤, 사주의 친인척 명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한 정황이 포착됐다.
해당 업체 사주는 이를 이용해 100억 원 상당의 부동산과 주식을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후조리원 역시 세무조사 대상이다.
이들 사업자는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체임에도 불구하고,
현금 할인을 조건으로 현금영수증을 미발급하고 수익을 누락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일부 산후조리원은 마사지 서비스를 기본 패키지에 최소한으로 포함한 후
추가 비용을 현금으로만 받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매출을 누락했다.
고액 영어유치원 또한 탈세 혐의가 적발됐다.
수업료 외에도 교재비, 재료비, 테스트비 등을 현금으로 받으며 세금을 탈루한 사례가 드러났다.
국세청은 이들 유치원이 매출을 분산하고 차명계좌를 활용해 소득을 누락한 정황을 정밀 조사 중이다.
민주원 국세청 조사국장은 “탈루 혐의 관련 금융 추적 및 이중장부 확인, 거짓 증빙에 대한 문서 감정 등을 세밀히 확인하겠다”며
“현금영수증 미발급 시 미발급 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가산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세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불공정 거래 관행을 바로잡고,
결혼·출산·유아 교육 시장의 탈세 행위를 근절하겠다는 방침이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