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이동통신 기지국 환경 정비 2단계 착수

0
이동통신 무선국 정비사업, 과기정통부 무선국 환경 개선, 5G 기지국 정비, 통신 인프라 안전점검, 유선 인프라 정비
(사진 출처-과기정통부 제공)
이동통신 무선국 정비사업, 과기정통부 무선국 환경 개선, 5G 기지국 정비, 통신 인프라 안전점검, 유선 인프라 정비
(사진 출처-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도심 미관을 해치고 노후화된 이동통신 기지국을 개선하기 위해 본격적인 정비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협의회’를 개최하고, 이동통신 무선국 정비사업 2단계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정비현장을 방문한 과기정통부는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공유했다.

과기정통부는 2021년부터 이동통신 3사 및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와 함께 이동통신 무선국 정비사업을 진행해왔다.

전주와 건물 옥상 등 도심에 난립한 노후·위험 구조물, 과밀 안테나에 대해 가림막 설치, 환경친화형 위장, 프레임 설치, 안테나 재배치 등을 추진해왔다.

1단계 사업에서는 7041개 무선국소, 약 9만4000개의 무선국을 정비해 계획 대비 100%의 성과를 달성했다.

정비사업은 이동통신 기술의 확산과 함께 증가한 4G·5G 기지국이 도시 미관을 해치고 시설 노후화로 안전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추진됐다.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1만5000개 무선국소(누적 약 14만2500개 무선국)를 대상으로 2단계 정비에 돌입한다.

이번 2단계 정비사업은 단순한 미관 개선을 넘어 통신 인프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재난 예방 점검 체계를 포함한다.

과기정통부는 지진, 집중호우, 풍수, 대설·한파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실효적 현장점검과 정기적인 안전점검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유선 인프라 정비사업도 확대한다.

이달 초 발표한 2025년도 공중케이블 정비계획에 따르면, 올해 51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55개 정비구역 내 전주 15만3673본(한전주 11만2653본, 통신주 4만1020본)에 대해 정비가 이뤄진다.

해지 후 방치된 케이블로 인한 보행자 사고, 차량 걸림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2027년까지 매년 200만 회선의 케이블을 철거할 방침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는 전파가 국민 생활 깊숙한 곳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안전·편리·혁신적 디지털 서비스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반으로써 중추적 역할을 했다” 말했다.

또한 “정비사업 현장 인력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밝혔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방송통신사업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유·무선 통신환경 정비를 지속적으로 확대, 깨끗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