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서 출토된 곰뼈, 반달가슴곰 복원 연구로 이어진다

0
경주 월성 곰뼈, 고대 동물 유체 연구, 반달가슴곰 복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협약
(사진 출처-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제공)
경주 월성 곰뼈, 고대 동물 유체 연구, 반달가슴곰 복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협약
(사진 출처-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제공)

경주 월성 유적에서 출토된 고대 곰뼈를 포함한 동물 유체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연구가 추진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과 공동 조사·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2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대 동물뼈의 체계적인 연구와 보존을 위해 양 기관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고대 동물에 대한 공동 학술연구, 연구에 필요한 유체·시료의 공유 및 협력, 기록 작업 및 연구 성과 활용 등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2020년 경주 월성 유적 해자 발굴조사에서 곰뼈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의 뼈를 수습한 바 있다.

해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물도랑 또는 못을 의미하며, 해당 유적은 고대 동물 유체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은 반달가슴곰, 여우, 산양 등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복원과 유전자원 확보를 위한 수집 및 분석 업무를 수행해 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경주 월성 해자에서 출토된 곰뼈를 우선 대상으로 연구를 공동 수행한다.

연구소 관계자는 “현재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 반달가슴곰이 한반도에 서식했던 당시의 모습을 밝히고, 한반도에서 멸종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각각의 전문성과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당 자료에 대한 정밀 분석을 추진하고, 이후 결과를 공유해 문화와 자연유산 연구에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 연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가유산의 가치를 더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