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유출 이어 콜센터·보험대리점 개인정보 해킹까지…불안 확산

0
KS한국고용정보
(사진출처-KS한국고용정보 홈페이지 캡처)
KS한국고용정보
(사진출처-KS한국고용정보 홈페이지 캡처)

SK텔레콤의 해킹 사고에 이어 대형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잇따르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연이어 발생한 보안 사고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우고 있으며, 피해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

28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콜센터 용역업체 KS한국고용정보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관계자는 “지난 22일 유출 신고를 접수해 회사 측 대응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S한국고용정보 측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19일 해커가 인사관리시스템에 침투해 인사 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히며, “즉시 시스템 분리와 추가 보안 조치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이번 사고로 유출된 개인정보에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주민등록번호, 사진 부착 이력서 등 민감한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현재 재직자 7천명, 퇴사자 2만9천명을 포함해 총 3만6천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보안업계에 따르면 유출된 데이터는 다크웹에서 22GB 분량이 약 2천만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커지고 있다.

또한, 여러 보험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법인보험대리점(GA) 2곳에서도 해킹 사고가 발생해 금융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금융감독원은 “대형 GA 1곳을 포함한 2곳에서 해킹 정황이 확인됐다”며 “고객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유출이 확정될 경우 신속히 고객에게 통지할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고객 정보가 민감한 보험 업계 특성상 이번 사고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쇄 보안 사고에 대해 단순한 해킹 시도의 일시적 증가를 넘어, 사회적 불안정성과 맞물린
사이버 공격 증가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최근 해킹 시도가 갑자기 급증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탄핵과
대선 정국 등 사회적 불안이 사이버 공격 증가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번 사고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SK텔레콤 해킹을 통해 유출된 유심(USIM) 정보와 다른 기관에서
유출된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민감 정보가 결합될 경우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계좌 무단이체 등 추가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성엽 교수는 “중소기업이나 일부 공공기관도 대량의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대기업 수준의 보안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가 이들 기관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고, 보안 시스템을 강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각각 조사를 통해 추가 유출 여부와 피해 규모를 확인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보안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각 기관과 기업은 사이버 보안 강화와 함께, 유출 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연이어 터진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단순한 기업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신뢰를 흔드는 문제로 확산 될 수 있다.

정부와 민간 모두 보다 철저한 보안 강화 대책과 신속 대응 체계를 마련해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해야 할 시점이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