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MWC 2025서 AI 보안·자율주행·K-콘텐츠 솔루션 공개

SK텔레콤은 다음 달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AI 기반의 자율주행, 보안, 미디어 기술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SK텔레콤은
산업현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자율주행 기술 VLAM(Visual Localization And Mapping),
통신 빅데이터 기반의 AI 보안 솔루션 FAME(Fraud detection AI for MNO & Enterprise),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AI 미디어 스튜디오 등을 공개한다.
SK텔레콤은 건설 현장, 병원, 사무건물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VLAM 기술의 실증 성과를 발표한다.
VLAM은 공간 분석 및 정밀 측위 AI를 활용해
로봇에 탑재된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자재 운반 및 적재를 지원하고,
병원에서는 최적의 동선을 찾아 의약품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AI 기반 보안 기술도 공개된다.
SK텔레콤은 FAME을 통해 기업과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사기 탐지 및 스팸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AI가 통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금융·보험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고객이 은행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때 보이스피싱 번호와의 통화 이력이 감지되면
계좌 이체를 차단하거나 경고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스팸, 스미싱, 악성 앱 및 악성 URL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K-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AI 미디어 스튜디오도 MWC 2025에서 공개된다.
이 솔루션은 콘텐츠 제작 및 현지화를 돕는 다양한 AI 기술을 포함한다.
음원 분리 기술을 활용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방송 영상을 모바일 최적화된 쇼츠 콘텐츠로 변환하는
오토리프레임(AutoReframe) 기능도 제공된다.
또한, 기존 영상에 2D 및 3D 제품을 삽입해
현지화된 브랜드 광고를 가능하게 하는 VPP(Virtual Product Placement) 기술도 포함된다.
AI 미디어 스튜디오는 SK텔레콤이 스타트업 XL8, 허드슨 AI와 공동 개발한
다국어 자막 번역 및 더빙 기능을 탑재해,
콘텐츠 제작사와 공급사가 기존 작품을 빠르게 현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K텔레콤은 향후 버추얼 스튜디오를 활용한 AI 기술을 추가 개발해 미디어 솔루션을 확장할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MWC에서 공개하는 AI 혁신 기술들을 통해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대한민국 AI 기술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