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유심 해킹 여파, 60대 남성 알뜰폰 무단 개통 피해

0
SK텔레콤 유심 해킹, 알뜰폰 무단 개통
(사진 출처-AI 이미지 생성)
SK텔레콤 유심 해킹, 알뜰폰 무단 개통
(사진 출처-AI 이미지 생성)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산에서 60대 남성이 알뜰폰 무단 개통으로 5000만원 피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28일 “지난 22일 60대 남성 A씨가 이런 피해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22일 자신이 사용하던 SK텔레콤 휴대전화가 갑자기 계약 해지되면서 본인 명의로 KT 알뜰폰이 개통된 사실을 알게 됐다.

A씨는 휴대전화가 먹통이 된 뒤 대리점을 방문해 사태를 인지했고, 같은 날 A씨 계좌에서는 1000만원씩 다섯 차례에 걸쳐 총 5000만원이 알 수 없는 사람에게 이체됐다.

이 사실을 확인한 A씨는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초기 단계로 내용 확인이 이뤄지지는 않았다”며 “휴대전화 무단 개통 과정과 은행 거래 내용 등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경찰은 사건 경위를 다각도로 조사 중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현재 경찰 조사 중이라 관련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자세하게 알 순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발생 시점을 먼저 알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유심 해킹 피해 대응을 위해 전국 가입자 2500만명을 대상으로 유심칩 무료 교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알뜰폰 무단 개통 사건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과 직접 연관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보이스피싱과 알뜰폰 무단 개통은 과거에도 빈번히 발생했으며, 대리점 직원이 고객 정보를 유출해 개통을 시도하는 사례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건이 유심 해킹에 의한 결과로 단정지을 수 없다는 신중론이 나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18일 밤 해킹 피해를 인지했으며, 21일 외부에 해킹 사실을 알렸다.

25일 열린 기자회견에서는 “해킹 관련 실제 유출 피해는 나지 않았다”고 밝히고, 피해 발생 시 “100% 책임지겠다”는 입장문도 발표했다.

그러나 일부 이용자들은 SK텔레콤의 대응에 불만을 표출하며 공동 대응 사이트 개설과 국회 국민동의 청원 참여 등 집단 행동에 나서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