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딥시크’, 독도 영유권 질문에 ‘대한민국’→‘중국 땅’ 황당 답변

0
딥시크
(사진출처-딥시크 홈페이지 캡처)
딥시크
(사진출처-딥시크 홈페이지 캡처)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Seek)가 생성형 AI 모델을 선보이며 전 세계 AI 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뛰어난 성능과 저렴한 비용을 앞세워 글로벌 AI 시장을 위협하는 가운데,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자사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딥시크 측은 “중국이 자체적으로 이룬 성과”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딥시크의 AI는 최근 놀라운 학습 효율성과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을 자랑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그러나 AI의 신뢰성과 관련한 논란이 잇따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역사적·정치적 민감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자주 바뀌는 현상이 포착됐다.

31일 오전 11시,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챗GPT를 모방했냐”고 질문하자, 딥시크는 “중국의 AI 기술은 자주적인 혁신 노력의 결과”라는 답변을 일관되게 내놓았다.

딥시크는 “인공지능 기술은 전 세계 연구자와 개발자들이 축적해온 개방형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발전했다”며 “중국은 지적재산권 보호를 중요하게 여긴다”고 강조했다.

특히 영어 질문에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AI 발전이 이뤄졌으며, 이는 세계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정치적 색채가 강한 답변을 내놓았다.

딥시크가 챗GPT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묻자, △효율적인 알고리즘 △분산 컴퓨팅 기술 활용 △오픈소스 도구 및 공개 데이터 적극 활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자동화된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구축 등을 꼽았다.

하지만 오픈AI 데이터 활용 여부에 대해선 “확인되지 않았다”며 즉답을 피했다.

중국 내 정치적 민감한 이슈에 대한 답변은 더욱 논란이 됐다.

전날까지 중국의 천안문 사태 관련 질문에는 “답변할 수 없다”며 회피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이날은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인민을 위해 봉사하며, 역사를 직시하고 사회주의 현대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한 답변으로 바뀌었다.

시진핑 주석에 대해선 “중국 인민의 위대한 지도자로서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찬양하는 발언이 이어졌다. 불과 14시간 만에 답변이 급변한 점은 AI 검열 논란을 더욱 증폭시켰다.

또한, 독도가 어느 나라 영토인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이상 현상이 포착됐다.

전날까지는 “역사적 사실과 국제법에 근거해 명백히 대한민국 영토”라고 답했으나, 이날 같은 질문에 “중국 영토”라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일본어 질문에는 “일본명 죽도”라는 설명까지 덧붙이며 기존의 답변과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딥시크의 등장과 관련해 글로벌 AI 시장은 술렁이고 있다.

중국 AI의 발전 속도가 무서운 수준이라는 점은 인정받고 있지만,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다는 의혹과 정치적 검열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미국 해군과 이탈리아 정부는 보안 우려를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영국 <가디언>은 “딥시크가 중국의 선전 도구가 되려면 검열 기준이 일관되어야 하지만, 현재는 용납할 수 있는 답변과 금지된 질문이 혼재된 불안정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AI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과 정치적 개입 여부는 향후 기술 신뢰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딥시크가 글로벌 AI 시장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그리고 이를 둘러싼 논란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