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닭 세척은 오히려 위험…세균 확산 우려에 주의 필요

싱크대에서 생닭을 흐르는 물에 씻는 행위가 오히려 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을 널리 퍼뜨릴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생물 교사이자 과학 실험 콘텐츠 제작자로 활동 중인 한 유튜버는 최근 생닭을 씻은 후 그 물을 실험한 영상을 공개하며 이 같은 경고를 전했다.
유튜버은 마트에서 구입한 생닭을 싱크대에서 물로 씻은 뒤 그 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실험 결과, 100배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400배율에서 다양한 세균들이 꿈틀거리는 모습이 관찰됐다.
그는 “생닭 표면에는 살모넬라균 등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이 존재한다”라고 말하며 “생닭을 씻을 때는 세균이 넓게 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생닭에는 캠필로박터, 살모넬라, 웰치균 등 식중독을 유발하는 다양한 박테리아가 포함돼 있다. 이 세균들은 생닭을 씻는 과정에서 물방울을 통해 싱크대 주변, 조리기구, 심지어 사람의 입속까지 퍼질 수 있다.
2019년 미국 농무부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가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생닭 세척 실험을 진행한 결과, 주방 싱크대와 주변의 60%가 세균에 오염됐고, 정리 후에도 14%의 표면에서 세균이 검출됐다.
이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생닭을 물로 씻지 말고, 중심온도 74℃ 이상에서 충분히 가열 조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FDA는 “위험하게 고기를 물에 씻는 불필요한 일은 하지 마라”고 분명히 밝혔다.
전문가들은 생닭에 묻은 핏물이나 이물질이 걱정된다면, 흐르는 물에 씻기보다 키친타올로 닦아내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포장된 생닭은 제조 단계에서 이미 살균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추가로 씻지 않아도 위생상 문제되지 않는다. 불가피하게 씻어야 한다면 물이 조리기구나 다른 식재료에 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또한 “생닭 세척 과정에서 튄 물이 채소류나 조리기구 등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생닭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조리 시에는 중심온도 75℃ 이상에서 충분히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