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조 몸값 카카오엔터, IPO 어렵자 매각 추진

0
카카오엔터 매각, 카카오 IPO 철회, 카카오 SM인수, 앵커PE, GIC, PIF, 카카오 지분 매각, 카카오 M&A, 카카오엔터 기업가치, 카카오 실적 악화
(사진 출처-카카오엔터전자공시시트템 제공)
카카오엔터 매각, 카카오 IPO 철회, 카카오 SM인수, 앵커PE, GIC, PIF, 카카오 지분 매각, 카카오 M&A, 카카오엔터 기업가치, 카카오 실적 악화
(사진 출처-카카오엔터전자공시시트템 제공)

카카오가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IPO 계획을 철회하고 경영권 매각으로 방향을 바꿨다.

카카오는 최근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 사우디 국부펀드(PIF),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주요 주주에게 서한을 보내 매각 방침을 공식화했다.

상장을 강행해도 기대만큼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이다.

미국 나스닥 상장도 검토됐으나, 마찬가지로 무산된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엔터 는 2019년 카카오페이지 시절부터 IPO를 준비해왔지만, 시장 불확실성과 “쪼개기 상장” 논란, SM엔터 인수 후폭풍까지 겹치며 상장 계획을 접었다.

기업가치는 약 11조원으로 추산되며, 2023년 초 GIC와 PIF로부터 1조2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이 같은 평가가 형성됐다.

인수 후보군으로는 하이브,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등 대형 게임사 및 엔터사, 사모펀드(PEF) 등이 거론되고 있다.

카카오엔터는 뮤직, 스토리, 미디어 세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며, 카카오웹툰, 카카오페이지, 멜론 등이 주요 사업이다.

2023년 매출은 1조8128억원으로 전년보다 3.2% 줄었고, 영업이익은 806억원으로 16.5%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은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공격적 M&A 전략으로 덩치를 키운 카카오엔터는 북미 웹소설 플랫폼 래디시와 타파스, 연예기획사 안테나 등을 인수하며 외형을 확장했다.

특히 SM엔터 인수전에서 승리한 후 기업가치가 한때 20조원까지 치솟기도 했으나, 인수 직후 실적 부진과 법적 리스크가 이어지며 본사에 부담을 안겼다.

김범수 전 의장 등 핵심 경영진이 SM 인수 관련 수사를 받거나 법정 구속되며 카카오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겪었다.

저금리 시기 무리한 인수의 부작용이 현실화되면서, 카카오는 결국 현금 확보를 위한 매각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카카오엔터 최대주주는 카카오(66.03%)이며, 앵커PE(12.42%), GIC·PIF(각 5.1%), 텐센트(4.6%) 등이 지분을 나눠 보유하고 있다.

앵커PE는 오래전 투자로 회수에 속도를 내야 하지만, 최근 투자자인 GIC·PIF는 낮은 가격 매각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 통매각보다는 지분 분할 매각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