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제작 붐…서버 과부하·저작권 이슈

생성형 인공지능(AI) 이미지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챗GPT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픈AI는 1일(현지시간) 기준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5억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1월 첫 출시 이후 약 2년 4개월 만의 기록으로, 불과 3개월 전 3억5000만명이었던 가입자가 30% 이상 급증한 수치다.
이번 가입자 폭증은 오픈AI가 올해 선보인 다양한 AI 모델의 인기에 기인한다.
1월 ‘o3 mini’와 ‘오퍼레이터(Operator)’, 2월 ‘GPT-4.5’와 ‘딥리서치(Deep Research)’를 공개한 데 이어,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 이미지 생성 모델은 사진을 업로드한 뒤 특정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을 모방한 ‘지브리화(지브리피케이션)’ 이미지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용자는 챗GPT에 사진을 업로드하고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해달라”고 요청하면 10초 내로 결과물이 생성된다.
“사람들이 이미지 모델을 좋아하는 것을 보는 것은 정말 즐겁다”고 밝힌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서버 과부하 상황을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고 표현했다.
실제로 챗GPT 이용자는 출시 초기 하루 100만명을 달성하는 데 5일이 걸렸지만, 최근에는 한 시간 만에 100만명이 추가되며 서버 용량을 압박하고 있다.
챗GPT의 ‘지브리화’ 기능은 국내 이용자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125만2925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유료 이용자뿐 아니라, 무료 이용자도 하루 최대 3장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대중화를 이끌었다.
그러나 지브리화 열풍과 함께 저작권 침해 논란도 커지고 있다.
오픈AI가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에 대해 스튜디오 지브리와의 공식 라이선스 계약 여부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타일 자체는 저작권 대상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지만, AI가 훈련 과정에서 원작을 무단 활용했을 경우 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프라이어 캐시먼 로펌 소속 조시 와이겐스버그 변호사는 “훈련에 필요한 라이선스나 승인을 받았는지가 쟁점이 될 수 있다”며
“스타일 자체가 저작권 대상은 아니지만 문제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오픈AI는 여러 작가 및 저자들로부터 AI 학습 관련 저작권 침해 소송을 받고 있다.
존 그리샴, 마이클 코넬리, 카이 버드 등 미국 유명 작가들은 오픈AI가 자신의 저서를 무단으로 학습 데이터로 사용했다며 집단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공동 창립자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2016년 NHK 다큐멘터리에서 AI 애니메이션에 대해 “작품 자체가 삶에 대한 모독”이라며
“이 기술을 내 작품에 접목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오픈AI는 향후 ‘딥리서치’ 기능도 무료 이용자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혀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딥리서치는 인터넷 기반 복잡한 조사를 수행해 리서치 분석가 수준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AI 기능이다.
오픈AI 엔지니어 이사 풀포드는 “딥리서치가 조만간 무료 이용자에게 배포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