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팔아도 빚 다 못 갚는다…고위험가구 38만6000가구

주택가격 하락과 낮은 경제성장세로 인해 고위험가구 채무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통해 2024년 기준 고위험가구가 38만6000가구에 달하며,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 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 금융부채의 4.9%에 해당하는 수치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초과, 자산대비 부채비율(DTA) 100% 초과 가구로 정의되며, 소득이나 자산 측면에서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이다.
이들의 DSR 중위값은 75.0%, DTA는 150.2%로, 평균적으로 채무상환 여력이 매우 저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능력이 크게 저하돼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소득이나 자산 중 한 가지 요건만 충족하지 못하는 취약가구도 318만 가구에 달하며,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512조 원으로 전체의 34.8%를 차지했다.
지방과 수도권 간의 격차도 주목된다.
비수도권 고위험가구의 DSR은 70.9%, DTA는 149.7%로 수도권(DSR 78.3%, DTA 151.8%)과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지방 고위험가구 중 60세 이상 고령 가구주의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훨씬 높아 소득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이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추산한 결과, 2024년 말 고위험가구의 비중은 지방 5.6%, 수도권 4.0%로 나타나 격차는 1.6%포인트까지 벌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방은 수도권 대비 경제성장률이 낮고 주택 미분양 및 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부실 위험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고위험가구 비중은 2023년(3.5%)에 비해 다소 하락했지만, 2022년(2.6%)과 장기 평균(3.1%)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 하락 등을 감안할 때,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며
“관련 동향과 정부의 대응 방안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