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견된 신종 및 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6년부터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을 통해
한반도 곤충을 종합적으로 조사해왔다.
2020년부터는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을 분석해왔다.
조사 결과,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종의 비율이
2020년 4.0%, 2021년 4.5%, 2022년 5.0%,
2023년 6.6%에서 2024년 10.3%까지 상승했다.
또한,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발견된 신종·미기록 곤충 370종 가운데
38종이 아열대 곤충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제주도에서는 아열대성 기후에서 주로 서식하는 곤충 21종이 최초로 발견됐다.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 큰활무늬수염나방, 노란머리애풀잠자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곤충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이동성이 강한 생물로,
환경 변화에 따라 분포가 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던 곤충들이 점점 북상해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는 것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시사하는 중요한 생태학적 현상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신종 곤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아열대성 곤충출현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향후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