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개인정보 유출 논란…애플 “정확히 모른다”

국내 고객의 동의 없이 4000만 명의 개인정보를 중국 알리페이에 제공한
카카오페이와 애플페이에 대한 처분 논의가 진행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애플 측이 모르쇠로 일관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25일 개인정보위가 공개한 속기록에 따르면, 애플의 국내 대리인은
“알리페이 등 다른 기업이 애플의 NSF 점수를 활용한 국가가 어디냐”는 질문에 대해
“클라이언트(애플 본사)에 확인해야 한다. 정확히 모른다”는 답변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NSF 점수는 애플이 여러 건의 소액 결제를 하나로 묶어 청구할 때
고객의 자금 부족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매기는 점수다.
앞서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애플은 카카오페이 이용자의 결제 정보를 알리페이에 전송하고,
NSF 점수 산출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면서도 이를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애플에 과징금 24억500만 원을 부과했다.
애플의 국내 대리인은 관련 문건 제출 요구에도
“담당자가 퇴사해 이메일을 찾을 수 없고, 증빙자료도 없다”고 답하며 자료 제출을 회피했다.
이러한 태도에 개인정보위 위원들은
“애플이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 피심인의 태도로 적절한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질타했다.
다국적 기업을 상대로 한 국내 개인정보 보호 조치의 한계도 지적됐다.
한 위원은 “국내 기업에는 현장 조사까지 진행할 수 있지만, 다국적 기업은 본사의 협조 없이는 조사가 어렵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외 기업의 국내 대리인은 본사의 승인 없이는 즉각적인 답변을 할 수 없으며, 이들은 홍보나 마케팅 업무만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핵심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국적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보다 면밀히 대응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