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익시오 AI 에이전트에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 도입

0
LG유플러스 AI 보안, 안티딥보이스 기술, 양자내성암호 PQC, 온디바이스 AI, MWC 2025, 익시오 AI 에이전트, AI 보안 기술, 보이스피싱 탐지, 네트워크 보안, SASE 보안 플랫폼
(사진 출처-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AI 보안, 안티딥보이스 기술, 양자내성암호 PQC, 온디바이스 AI, MWC 2025, 익시오 AI 에이전트, AI 보안 기술, 보이스피싱 탐지, 네트워크 보안, SASE 보안 플랫폼
(사진 출처-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25일, 다음 달 3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자사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및 보안 기술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모바일 AI 에이전트 익시오(ixi-O)에 적용될 안티딥보이스(Anti-DeepVoice),
양자내성암호(PQC),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등 보안 기술이 소개된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해킹, 피싱 등 보안 위협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AI 서비스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기술을 적극 개발하고 있다.

AI 보안 기술의 핵심 중 하나인 안티딥보이스는 AI가 위조된 음성을 판별하는 기술이다.
최근 TTS(Text to Speech) 기술이 발전하면서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빠르게 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보이스피싱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TTS 모델을 활용해
AI가 자연스러운 음성과 위조된 음성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학습했다.

이를 통해 발음의 미세한 차이, 음성 주파수 영역에서의 비정상적인 패턴 등을 탐지해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할 수 없는 보안 기술인
양자내성암호(PQC)를 익시오에 적용해 AI 서비스의 안전성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PQC는 해킹이 불가능한 암호 기술로,
스마트폰을 분실하더라도 고객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온디바이스 AI 기술도 고도화된다.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는
개인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방식이어서해킹 위험이 존재했다.

그러나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활용하면
AI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직접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기술을 익시오에 적용해 더욱 안전한 AI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MWC에서 국내 보안업계 파트너사와 협력해
개발 중인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보안 플랫폼도 선보인다.

SASE는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보안, 보안 관제 기능을 통합한 솔루션으로,
LG유플러스를 비롯해 모니터랩, 안랩, 시큐아이, 아스트론시큐리티, 싸이버원, 세이퍼존, 제이슨 등 국내 주요 보안 기업이 공동 개발하고 있다.

한영섭 LG유플러스 AI테크Lab 담당은 “익시오에 차별화된 보안 기술과 솔루션을 적용해 가장 안전한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LG유플러스의 AI 기술 경쟁력을 선보일 것”이라며
“보안뿐만 아니라 익시오의 다양한 편의 기능도 강화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AI 서비스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