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후판 최대 38% 관세…국내 철강업계 숨통 트이나

0
중국산 후판, 덤핑 방지 관세, 국내 철강업계, 철강 산업, 무역위원회, 반덤핑 조치, 가격 경쟁력, 포스코, 현대제철, 철강 수입
(사진 출처-현대제철 제공)
중국산 후판, 덤핑 방지 관세, 국내 철강업계, 철강 산업, 무역위원회, 반덤핑 조치, 가격 경쟁력, 포스코, 현대제철, 철강 수입
(사진 출처-현대제철 제공)

우리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덤핑 방지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값싼 중국산 후판이 대량 유입되며 국내 철강업계 피해가 커지자
정부가 무역 장벽을 높이는 조치를 취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대해
기업별로 27.91~38.02%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기획재정부 검토를 거쳐 한 달 내로 최종 확정되면, 중국산 후판에 즉시 적용된다.

정부는 “덤핑 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본 조사 기간 중 발생 가능한 피해를 막기 위해 잠정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현대제철이 지난해 7월 중국산 후판을 대상으로 반덤핑 조사를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의 경기 둔화 이후 중국 철강업체들이 가격을 대폭 낮춰
글로벌 시장에 대량으로 후판을 공급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후판도 빠르게 증가했다.

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주로 선박, 교량, 건설 자재 등에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이 후판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산 후판 수입이 급증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117만 9328톤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했고, 2021년(32만 6145톤)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었다.

특히, 중국산 후판은 국산 제품보다 20~40% 저렴해 국내 조선업계를 중심으로 사용 비중이 높아졌다.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건설 현장에서도 중국산 후판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체들의 실적이 악화됐다.
포스코의 지난해 매출은 37조 56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줄었으며,
현대제철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10.4%, 60.6% 감소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중국산과 가격 차이를 고려하면 낮지 않은 수준의 관세가 부과된 것으로 보인다”며 “일단은 숨통이 조금은 트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업계 상황으로 볼 떄 환영할 만한 결과”라며
“업종별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기 집권과 동시에
멕시코·캐나다산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산 저가 물량이 한국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대해 무역위원회는 “불공정 무역 행위에 대해 엄정한 조사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