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소방관 수중 정화 활동 중 사망… 위험직무순직 인정 촉구

삼척에서 수중 정화 활동을 하던 중 바다에 빠져 숨진
고(故) 이윤봉 소방위에 대한 위험직무순직 인정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유족과 동료 소방관들은 국가가 그의 희생을 인정해야 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강원소방지부에 따르면
삼척소방서 119구조대 소속 이 소방위는 지난해 5월 15일 오전 11시 18분께
삼척 장호항 인근 바다에서 수중 정화 활동을 하던 중 사망했다.
유족과 동료들은 “이 소방위가 팀원들과 수난 구조 훈련을 하다 사고를 당했다”며,
이듬해 3월 인사혁신처에 순직과 위험직무순직 인정을 요청했다.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르면,
위험직무순직은 생명과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을 감수하며 직무를 수행하던 중
입은 재해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할 경우 인정된다.
그러나 인사혁신처 공무재해보상심의회의는 지난해 9월 유족에게
위험직무순직 유족급여 부지급 결정을 통보했다.
심의회는 “이 소방위의 활동은 구조나 실기·실습 훈련 등의 목적이 아닌 단순한 체육행사의 일환으로 실시됐기 때문에,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를 수행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동료 소방관들은 강하게 반박했다.
“열악한 훈련 환경 탓에 구조대원들이 직장체육행사 시간을 활용해 수난 구조 훈련을 할 수밖에 없었던 구조적 문제가 사고를 야기한 것”이라며,
“소방서에는 제대로 된 훈련 장소와 시설이 부족한데도, 규정된 교육 시수 시간을 수료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소방위의 유족과 동료들은 지난해 12월 인사혁신처에 위험직무순직 인정 재심을 청구했다.
전공노 소방본부 강원소방지부는 17일 성명을 통해 “하중이 높은 장비를 착용하고 수중에서 사전 훈련을 하던 중 사망한 고인에 대한 위험직무순직이 인정돼야 한다”며,
“유족에게는 위험직무순직 유족급여 지급을 통해 생계를 보장하고 고인의 명예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