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오피스 공실률 4.9%로 상승… 마곡 대형 오피스 공급 영향
서울 오피스 시장의 공실률(空室率)이 4분기 연속 상승했다.

마곡지구를 비롯한 주요 업무지구에 대규모 오피스 빌딩이 공급되면서 임차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발표한 ‘2024년 4분기 오피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4.9%로 전분기 대비 2.0%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연면적 6만6116㎡(2만평) 이상의 프라임급 오피스 공실률은 8.0%로, 전분기보다 6.8%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마곡 업무지구에 약 76만7000㎡(23만2000평) 규모의 신규 오피스가 공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오피스 임대료 상승세도 둔화했다. 2022~2023년 분기별 평균 임대료 상승률은 1.5%였으나, 지난해는 1.2%로 상승폭이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의 평균 명목 임대료는 3.3㎡당 9만7000원으로 전분기 대비 0.3% 증가했지만, 프라임급 오피스의 명목 임대료는 평당 12만2000원으로 0.8% 하락했다.
반면, 대형 오피스 거래가 증가하면서 매매 시장은 활기를 띠었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 매매 거래액은 전분기 대비 21% 증가한 5조7000억 원으로, 2020년 3분기 이후 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 거래가는 평당 2899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상승했다.
진원창 알스퀘어 빅데이터컨설팅 실장은 “올해도 지난해 4분기와 유사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신규 오피스가 공급된 지역의 임차 수요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