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4
소셜 챗봇, 외로움 완화, 사회불안 감소, 정신 건강 연구, UNIST 연구결과
(사진 출처-UNIST 제공)

소셜 챗봇 이 외로움과 사회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봇은 인간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인공지능 기반의 대화형 소프트웨어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정두영 교수는“안전하게 사용될 경우 전문인력이 부족한 환경에서 정신 건강 문제의 예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라고 평가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정두영 교수팀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현철 교수팀과 함께 소셜 챗봇의 정신 건강 효과를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가 지난 1월 14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컬 인터넷 리서치(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

연구는 소셜 챗봇 ‘이루다 2.0’을 활용해 이루어졌다.
연구팀은 176명의 실험 참여자를 모집해 4주 동안 주 3회 이상 챗봇과 대화하게 했으며,
실험 전후의 외로움(Loneliness)과 사회불안(Social Anxiety) 수준을 표준화된 설문도구를 통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셜 챗봇과의 정기적 상호작용은 외로움 점수를 평균 15% 낮추고,
사회불안 점수를 평균 18%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챗봇에게 더 많이 표현하거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경우 효과가 더욱 두드러졌다.

대면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들에게도 챗봇의 정서적 안정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1저자인 김명성 박사과정 학생은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디지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챗봇이 단순한 기술적 장치를 넘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대인관계와 관련된 요인들이 이러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추가적으로 챗봇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전파진흥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