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를 지긋지긋하게 여기던 두 남녀가
한순간에 모든 기억을 잃고, 오히려 새로운 감정을 발견한다면?
영화 《30일》은 이러한 낯설고도 흥미로운 설정을 통해
기억, 사랑, 관계에 대하여 유쾌하면서도 따뜻하게 질문을 던지는 로맨틱 코미디이다.
장르: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제작: 영화사 케미스트리, CJ ENM
감독: 남대중
원작: 오리지널 시나리오 (남대중 감독 각본)
그들이 잊어버린 것은 서로였다
정열과 나라는 결혼을 앞두고 잦은 다툼에 지쳐 마침내 이별을 선언한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처럼 두 사람은 동시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기적적으로 살아나지만 모든 기억을 잃는다.
문제는 이들이 부부였다는 사실조차 잊은 채 병원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는 점.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한 채 서로를 낯설게 바라보는 두 사람은
법적인 부부라는 이유로 함께 이혼조정기간인 30일을 지내게 되고,
예기치 못한 동거가 시작된다.
웃음 속에 스며든 관계의 재발견
서로를 전혀 모른다는 상황에서 시작된 이들의 일상은
어색함과 어이없는 해프닝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들은 오히려 진심에 가까워진다.
과거에는 보지 못했던 서로의 따뜻함, 진심,
연약함이 드러나며 다시 사랑에 빠지게 된다.
《30일》은 코믹한 상황 속에 관계의 본질을 절묘하게 녹여내며,
“기억을 잃어야 사랑을 알 수 있다”는 역설적 메시지를 전한다.
영화의 비하인드
《30일》은 일상적인 주제와 ‘기억 상실’을
색다른 로맨틱 코미디로 풀어내기 위해
철저히 계산된 각본과 연출이 결합된 작품이다.
감독은 단순한 웃음을 넘어, 관계의 회복과 두 인물의 감정선에 깊이를 부여하고자 노력했다.
배우 강하늘과 정소민은 이전 작품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어
이번 영화에서도 더욱 유연한 연기 호흡을 보여주었고,
실제 촬영 중에도 많은 애드리브와 자연스러운 감정 교류가 이뤄졌다고 알려졌다.
또한 제작진은 일상의 공간들을 비현실적인 설정 속 현실감 있는 장면들로 연출해냈다.
병원, 자택, 거리, 변호사 사무실 등 관객들에게 익숙한 공간이 주 무대로 사용되며,
익숙한 공간이라는 배경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한층 더 현실감을 갖게 되었다.
특히 30일이라는 한정된 시간 설정이 극적 긴장감을 더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두 사람의 관계 변화에 더욱 몰입하게 만든다.
영화 《30일》에서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 뒤에
사랑과 관계, 기억과 용서에 대한 현실적인 질문이 자리한다.
잃어버린 기억이 오히려 두 사람에게 새로운 시작을 선사했다.
서로를 다시 알아가는 30일의 여정은,
결국 우리 모두가 관계 속에서 겪는 갈등과 화해,
그리고 진심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마음이 지친 날, 웃음과 잔잔한 울림을 주는 영화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