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여성, 결혼정보회사 찾는 이유 달라졌다…‘얼굴’이 최우선?

최근 2030세대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결혼정보회사(이하 ‘결정사’)를 찾는 젊은 층의 숫자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4년 11월 기준 국내 결혼상담소는 1974개소로, 5년 전인 2019년(1610개소)보다 22.6%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결혼을 외면하는 젊은 층이 늘어나는 현실과는 상반되는 흐름이다.
결정사의 성장세는 매출 증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대표 결정사인 듀오의 2023년 매출은 404억 원으로, 2019년 실적 287억 원보다 40.7% 증가했다.
이는 결혼을 위한 전통적인 연애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2030세대의 가치관 변화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대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는 저서 ‘스물하나, 서른아홉’에서 젊은 층이 ‘리스크 회피’를 중요하게 여기면서 결정사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결혼 상대를 직접 찾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개인의 기대 수준에 맞는 최적의 짝을 찾을 수 있는 효율적인 방식이 결혼정보회사를 통한 만남”이라고 분석했다.
즉, 결혼 상대를 직접 탐색하기보다 전문가의 중개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최적의 선택을 하려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2030 여성들이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결정사의 서비스 방향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 결혼 상대를 선택할 때 ‘스펙’(학력, 직업, 연봉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외모’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실제로 여러 결정사 관계자들은 “최근 여성 의뢰인들이 배우자의 스펙보다 외모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례가 늘었다”고 전했다.
또한, 성격 유형 검사(MBTI)도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고 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2022년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성을 만날 때 MBTI를 고려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24.7%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3배 증가한 수치로, 성격 궁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정사들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해, 고객들의 성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맞춤형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한편, 결정사를 통한 만남이 증가하면서 ‘연애 없이 결혼’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결정사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결혼’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아, 연애 단계를 생략하고 곧바로 결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결혼을 선택한 사람들도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출산 기피’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25~39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결혼인식조사’에 따르면, 남성의 50%, 여성의 58.8%가 결혼으로 인한 불이익(‘결혼 페널티’)이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출산 페널티’를 느낀다는 응답은 남성 77.2%, 여성 92.8%로, 결혼보다 출산과 양육이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녀 모두 결혼 자체보다는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제적·사회적 부담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 것이다.
이처럼 2030세대는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결혼정보회사를 활용하는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결혼을 효율적으로 준비하려는 트렌드 속에서 결정사 이용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결혼 후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결혼 가치관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