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20°C 맑음 서울
서울, 20°C 맑음

검색

Home 스포츠 박동진 욕설, 전북 볼보이 논란, 유병훈 발언까지…K리그 연맹, 징계 결정

박동진 욕설, 전북 볼보이 논란, 유병훈 발언까지…K리그 연맹, 징계 결정

김포 박동진
김포 박동진 (사진출처- 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 이 10일 제6차 상벌위원회를 열고 K리그1·2에서 발생한 다양한 위반 행위에 대해 제재를
확정했다.

징계 대상은 김포FC 소속 공격수 박동진, 전북현대 구단, FC안양의 유병훈 감독 등 총 3건이다.

먼저, K리그2 김포 소속의 박동진은 제재금 250만 원을 부과 받았다.

박동진은 지난 6월 29일 김포 솔터축구장에서 열린 김포 대 인천유나이티드 경기 종료 후
인천 코칭스태프를 향해 손가락 욕설을 하는 비신사적인 행동을 한 사실이 적발됐다.

연맹은 해당 행위가 K리그 상벌규정상 폭언 및 모욕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연맹은 해당 인천 코치진에 대해서도 언쟁을 벌인 점을 들어 경고 공문을 발송했다.

K리그1 전북현대 구단에게는 제재금 1,000만 원이 부과됐다.

문제는 6월 17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전북과 수원FC의 경기 후반 추가시간에서 발생했다.

해당 시간대에 볼보이들이 의도적으로 대기공을 이동시켜 경기장에 대기볼이 없는 상황을 유도했고,
그로 인해 약 2분간 경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연맹은 이 사안을 심각한 경기 운영 방해로 판단하고 구단에 대한 중징계를 결정했다.

마지막으로, K리그1 FC안양의 유병훈 감독은 제재금 500만 원을 부과 받았다.

유 감독은 지난 6월 28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안양과 광주FC 경기 이후 공식 기자회견에서
심판 판정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을 했다.

연맹은 이 발언이 심판의 권위를 부정하는 행위에 해당된다고 판단했다.

K리그 상벌규정은 이 같은 행위에 대해 출장 정지나 제재금 부과가 가능하도록 명시돼 있다.

이번 상벌위 결과는 K리그 경기장의 공정성과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로, 향후 심판 존중, 경기 질서 유지,
구단 운영의 투명성이 더욱 강조될 전망이다.

다른 기사보기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

Latest articles

FC서울, 바르셀로나전 맞아 롯데월드몰 팝업스토어 연다

FC서울이 세계적인 명문 클럽 FC바르셀로나와의 스페셜 매치를 앞두고 팬들을 위한 특별한 체험 공간을 마련한다. 구단은 오는 7월 23일부터 8월 3일까지…

‘골리앗 스트라이커’ 말컹, 울산 HD와 K리그 복귀 선언

K리그 역대 최장신 골잡이 중 하나인 말컹이 울산 HD 유니폼을 입고 6년 5개월 만에 한국 무대로 돌아왔다. 울산 구단은 18일,…

KT 위즈, 7년 동행 쿠에바스와 20일 작별식 개최

KT 위즈가 7시즌 동안 팀의 마운드를 책임졌던 외국인 투수 윌리엄 쿠에바스와 마지막 작별 인사를 나눈다. 구단은 오는 7월 20일 수원…

FC안양, 22일 대구전서 ‘평촌서울나우병원 브랜드데이’ 개최

  프로축구 FC안양이 7월 22일 화요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지는 하나은행 K리그1 2025 대구FC와의 홈경기에서 오랜 메디컬 파트너인 평촌서울나우병원과 함께 브랜드데이를 개최한다.…

More like this

FC서울, 바르셀로나전 맞아 롯데월드몰 팝업스토어 연다

FC서울이 세계적인 명문 클럽 FC바르셀로나와의 스페셜 매치를 앞두고 팬들을 위한 특별한 체험 공간을 마련한다. 구단은 오는 7월 23일부터 8월 3일까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몰 1층 아트리움에서 ‘FC서울 vs FC바르셀로나 스페셜 매치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7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FC바르셀로나와의 스페셜 매치를 기념해 기획됐다. FC서울이 해외 클럽을 초청해 서울에서 이벤트 매치를 여는 것은 무려 […]

네이버, AI 기반 이머시브 플랫폼 공개…스트리밍 경쟁 본격화

네이버가 독자적으로 축적한 미디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 생태계 전반에 온서비스(On Service) AI 전략을 본격 적용하고 있다. 자사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을 중심으로 영상 콘텐츠 제작 및 XR 기반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인터넷 방송 플랫폼 시장에서 SOOP과의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네이버는 올해 안에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Immersive Media Platform)’을 확대 구축하고, AI 기반 영상 콘텐츠 기술과 X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