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도로 끓여도 살아남는 퍼프린젠스 식중독, 봄철 환자 급증 주의

100도 이상에서 끓여도 살아남는 퍼프린젠스 식중독 환자가 봄철을 맞아 급증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일 의료계에 따르면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는 3~5월 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퍼프린젠스균은 고기나 육류를 주원료로 한 조리식품에서 자주 발견되며, 열에 강한 특징을 가진다.
특히 이 균은 고온이나 건조 환경 같은 생존이 어려운 조건에 처하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아포’를 생성한다.
이 아포는 100도로 1시간 이상 끓여도 살아남을 수 있으며,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면 다시 깨어나 증식하게 된다.
문제는 충분히 가열한 음식이라도 실온에 방치할 경우 퍼프린젠스균이 다시 번식해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후 6~24시간 내에 복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하루 안에 회복되지만 일주일 이상 지속될 경우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조리 후 냉장보관이 늦어진 고기류 음식은 퍼프린젠스균 증식 위험이 크며, 음식점과 집단급식소는 물론 최근에는 배달 음식에서도 관련 식중독 사례가 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배달 음식으로 인한 퍼프린젠스 식중독 환자는 2022년 264명, 2023년 106명, 지난해에는 452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조리 및 보관 시 기본적인 위생 관리만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
음식은 반드시 조리 후 빠르게 냉장보관해야 하며, 섭취 전에는 한 번 조리한 음식이라도 75도 이상으로 재가열해야 균의 활성화를 막을 수 있다.
세란병원 홍진헌 내과 과장은 “봄에는 아침저녁 기온이 낮아 실온 보관이 잦지만 낮 기온 상승으로 퍼프린젠스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며,
“음식은 반드시 냉장보관하고, 섭취 전 재가열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심한 탈수 증상이 있을 경우 수분을 보충해야 하며, 복통이나 발열이 심하면 진통제나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