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 2027년까지 연장 운영 결정

0
다누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 탐사선, 고도 하강 기동, 연장 임무, 달 궤도, 개기월식, 달 동결궤도, 우주 탐사, 과학 연구
(사진 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누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 탐사선, 고도 하강 기동, 연장 임무, 달 궤도, 개기월식, 달 동결궤도, 우주 탐사, 과학 연구
(사진 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당초 계획보다 2년 연장된 2027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의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다누리의 궤도는 평균 100㎞에서 평균 60㎞로 낮아졌으며,
앞으로 7개월간 달 주위를 돌며 정밀 관측을 수행한다.

이번 고도 하강 기동은 전날 오전 11시 10분에 시작됐다.
고도를 낮추기 위해 추진력을 사용해 궤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분석 결과 다누리는 안정적으로 달 저고도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보다 낮은 고도에서 달 표면을 더욱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궤도 변경에서는 내달 14일 예정된 개기월식에 대비해
궤도 위상을 조정하는 기동도 함께 수행됐다.

개기월식 동안 태양 빛이 장시간 차단돼 전력 생성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고려해
다누리의 공전 궤도를 조정, 태양 전력 생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최적화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다누리의 임무 연장 기간 동안 연구진들이 빈틈없는 관제 업무를 수행하며 안정적인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새로운 임무 궤도에서도 ‘달을 모두 누린다’는 다누리의 뜻처럼 의미 있는 과학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누리는 2022년 8월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후 12월 27일 발사 145일 만에 달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2023년부터 과학 연구를 진행해왔다.

지구와 달 사이의 전이 과정에서 연료를 절약하며 운항한 결과,
약 86㎏의 연료가 남아 있어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 연장 운영이 결정된 바 있다.

이후 추가 연료 분석을 통해 2027년까지 운영 기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다누리는 앞으로 7개월 동안 저고도에서 임무를 수행한 뒤,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최소 고도 60㎞, 최대 고도 200㎞의 달 동결궤도로 진입할 예정이다.

달 동결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 특성 때문에 연료 소모가 적고 자연적으로 궤도가 유지되는 구간이다.

이를 통해 2027년 말까지 임무를 지속하며,
이후 마지막 3개월 동안 점진적으로 하강하여 달 착륙과 유사한 조건을 실험한 뒤
2028년 3월 달 표면과 충돌하는 방식으로 임무를 종료할 계획이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