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유예에 애플 주가 급등…아이폰 가격 3500달러 전망까지

0
애플, 아이폰 미국 생산, 아이폰 가격, 관세 유예, 트럼프 대통령, 아이폰 관세, 폭스콘 인도 공장, 아이폰 수입, 아이폰 공급망, 애플 주가
(사진 출처-픽사베이)
애플, 아이폰 미국 생산, 아이폰 가격, 관세 유예, 트럼프 대통령, 아이폰 관세, 폭스콘 인도 공장, 아이폰 수입, 아이폰 공급망, 애플 주가
(사진 출처-픽사베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90일간 관세 유예 조치로 애플 주가가 일시적으로 급등했지만, 아이폰 생산 비용 상승 우려와 생산기지 이전 압박이 더해지며 불확실성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애플은 현재 아이폰의 약 9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은 최고 125%까지 치솟았다.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직후 애플 주가는 15.33% 급등했다.

하지만 같은 날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기존 104%에서 125%로 인상했다.

백악관은 애플에 대해 아이폰의 미국 내 생산을 압박하고 있으며,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는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미국으로 옮길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아이폰의 미국 생산 가능성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 내 생산 시 제작 비용이 약 90% 상승하고, 최종 소비자가격은 25%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현실성 없는 망상”이라고 비판하며, “아이폰 가격이 35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급망의 10%만 미국으로 이전해도 300억 달러의 비용과 3년이 소요된다고 덧붙였다.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애플은 전세기를 이용해 아이폰을 미국으로 긴급 수송하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부터 100t 규모의 화물기를 6기 이상 동원해 약 150만 대의 아이폰을 미국으로 공수했다.

생산 공장이 위치한 인도 타밀나두주의 첸나이 공항에서는 통관 시간을 기존 30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하는 요청까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도 내 폭스콘 공장은 일요일에도 가동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애플이 앞으로 중국 대신 인도 내 생산 비중을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관세율이 125%에 달하는 반면, 인도는 26%에 불과하며,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따라 더 낮아질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연간 2억 2000만 대의 아이폰을 판매하며, 그중 약 20%가 인도에서 생산된다.

현재 인도에는 폭스콘과 타타가 3개의 공장을 운영 중이며, 추가로 2개 공장이 건설되고 있다.

공급망 다변화는 애플이 관세 부담을 줄이고 미국 시장 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