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OECD 회의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 단골’ 사례 발표

0
카카오, 프로젝트 단골,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OECD D4SME, 전통시장 디지털화, 상생 사례, 중소기업 지원, 카카오워크 2.0, 단골만들기 지원센터
(사진 출처-카카오 제공)
카카오, 프로젝트 단골,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OECD D4SME, 전통시장 디지털화, 상생 사례, 중소기업 지원, 카카오워크 2.0, 단골만들기 지원센터
(사진 출처-카카오 제공)

카카오는 지난 10일 프랑스 파리 OECD 본부에서 열린 ‘D4SME(Digital for SMEs Initiative)’ 회의에 아시아 유일 공식 민간 협력사로 참여해 ‘프로젝트 단골’을 소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디지털 및 AI 도입을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열렸으며, 각국 정부와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카카오는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온 프로젝트 단골의 성과를 공유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는 “현재까지 212개 전통시장과 15개 지역 상권을 지원했으며, 지난해 우수시장으로 선정된 곳은 단골 고객을 1만 명 이상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유통학회 공동 연구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 시장은 비참여 시장 대비 3년간 평균 매출이 3%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서울 북촌 계동길 상인회 김용조 회장도 발표자로 나서 직접 현장 경험을 전했다.

김 회장은 “카카오의 지원 덕분에 하루 1만 명이 오가는 골목에서 5000명 이상의 단골 고객을 확보하고, 온라인 기반 소통도 시작할 수 있었다”며

“디지털 전환을 두려워하던 상인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계기였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 지원 전략도 발표했다.

정부 정책을 연계한 ‘카카오 단골만들기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을 통해 기술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또 올해 출시 예정인 업무 협업 툴 ‘카카오워크 2.0’에는 인공지능(AI) 기능이 추가돼, 중소기업도 AI 기술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김은화 리더는 “OECD 회의를 통해 카카오의 소상공인 상생 모델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 2019년부터 OECD D4SME 회의에 공식 파트너로 참여해 왔으며, 지난해에도 카카오톡 채널 챗봇 기반 전통시장 디지털 사례를 공유한 바 있다.

플랫폼 기업으로서 기술 기반의 사회적 기여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