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AI로 제작한 웹툰 숏폼 ‘헬릭스 숏츠’ 전면 적용

0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헬릭스 숏츠, AI 웹툰 요약, 카카오페이지, 웹툰 숏폼 영상, AI 콘텐츠 제작, AI 내레이션, 헬릭스 기술, 웹툰 자동영상, AI 창작 기술
(사진 출처- 카카오엔터 제공)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헬릭스 숏츠, AI 웹툰 요약, 카카오페이지, 웹툰 숏폼 영상, AI 콘텐츠 제작, AI 내레이션, 헬릭스 기술, 웹툰 자동영상, AI 창작 기술
(사진 출처- 카카오엔터 제공)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웹툰을 자동으로 숏폼 영상으로 제작하는 ‘헬릭스 숏츠(Helix Shorts)’ 서비스를 공식 론칭하고, 카카오페이지 전체 이용자에게 적용을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헬릭스 푸시’, ‘헬릭스 큐레이션’에 이은 카카오엔터의 세 번째 AI 기반 기술이다.

‘헬릭스 숏츠’는 웹툰의 컷 구성, 말풍선, 대사, 캐릭터 표정 등을 AI가 정밀 분석해 줄거리를 요약하고, 30초 내외의 숏폼 영상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술이다.

자동 생성된 내레이션 문장은 텍스트 음성변환(TTS) 기술을 통해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구현되며, 자막 삽입과 이미지 전환 효과, 분위기에 맞는 배경 음악(BGM)까지 포함돼 영상으로 완성된다.

기존 수작업 방식으로는 숏츠 영상 1편당 약 3주가 소요되고 200만 원 수준의 비용이 들었지만, 헬릭스 숏츠를 적용하면 3시간 만에 6만 원 수준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다량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요약하고 노출할 수 있게 됐으며, 카카오페이지 앱 내 홈 화면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카카오엔터는 2023년부터 해당 기술을 개발해 2024년 8월 내부 테스트를 시작했고, 9월에는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이후 11월부터 본격 도입해 2025년 2월 기준 최근 30일 내 웹툰 열람 이력이 있는 전체 이용자에게 헬릭스 숏츠 적용을 완료했다.

현재 카카오페이지에 노출되는 숏츠 영상 중 약 40%가 이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향후 카카오엔터는 상반기 중 AI 에이전트(AI agent)를 도입해 영상 검수 및 편집까지 자동화할 계획이다.

창작자에게는 제작 효율을, 이용자에게는 빠르고 직관적인 콘텐츠 탐색 경험을 제공하는 AI 콘텐츠 기술을 지속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김기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CTO는 “헬릭스 숏츠를 통해 이용자에게는 콘텐츠 접근성을, 창작자에게는 홍보 효율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또한 “AI 기술 기반 창작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연구 개발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