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딥시크’ 접속 차단…초·중·고교 경계령, 대학은 예외?

정부가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의 접속 차단에 나선 가운데, 교육부도 소속 기관에 해당 AI 서비스의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된 만큼, 초·중·고교 등 교육기관에서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6일 교육부는 전국의 시·도 교육청과 대학 등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하고, “업무 시 생성형 AI 사용을 자제해달라”는 내용의 권고안을 전달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 등의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교육부 본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어 소속 기관 및 각급 학교에도 딥시크 접속 차단을 안내했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유치원과 초·중·고교를 포함한 교육기관 전반에 적용된다.
그러나 대학과 대학원은 예외적으로 접속 차단 대상에서 제외됐다. 학술 연구 및 교육 목적에 한해 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보안에 철저히 유의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대학이 연구와 학문적 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AI 기술을 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이번 조치는 딥시크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딥시크는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며,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하는 등 기존 생성형 AI와 비교해도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딥시크 사용이 보안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초·중·고·특수학교 교원의 70.1%가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업무에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생활기록부 작성이나 수업 지도안 작성 등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개인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AI에 입력할 경우, 해당 정보가 수집 및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 유출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정부 차원의 AI 사용 규제도 강화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3일 모든 정부 부처 및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 공문을 보내, 챗GPT와 딥시크 같은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AI가 생성한 데이터를 검증 없이 활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등 주요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금융권 및 주요 IT 기업 등 민간 부문에서도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이 중요한 금융권에서는 딥시크와 같은 AI 서비스 사용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생성형 AI의 보안 위험성을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업무와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그만큼 보안 문제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와 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기업과 연구기관에서도 생성형 AI 활용 시 보안 점검을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교육부의 조치는 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기관 보안 강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평가된다.
향후 AI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더욱 강화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도입하는 정책이 요구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AI 서비스 사용 가이드라인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