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보다 중년 여성이 더 일한다…20대 남성 경제활동참가율 역전

청년층의 고용시장 이탈이 심화되면서 20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5060 중년 여성에게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시장에 대한 참여 의지가 청년층보다 어머니 세대에서 더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55~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1.5%로 20~29세 남성의 60.7%를 넘어섰다.
이는 중년 여성이 청년 남성보다 더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10년 전인 2015년 2월, 55~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2.1%로 낮았지만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며 지난해 9월부터 20대 남성을 추월했다.
반면 같은 기간 20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4.1%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왔다.
청년 고용 위축은 고용률 지표에서도 두드러진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체 남성 고용률은 전년 대비 0.5%p 하락했으며, 특히 20대 남성은 1.6%p나 떨어져 전 연령층 중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지표 전반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올해 2월 기준 15~29세 청년 비취업자는 120만 명을 넘어서며 전년보다 7만 명 이상 증가했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아예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쉬는 사람’으로 분류돼 공식 고용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문제도 크다.
실제로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50만4000명으로,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3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정부의 직접일자리 사업 영향으로 2월 전체 취업자 수는 13만6000명 늘었고, 고용률도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증가한 취업자의 대부분은 65세 이상 고령층이다.
지난달 65세 이상 취업자는 33만1000명 증가했으며, 이 수치는 보건복지와 공공행정 부문 중심의 정부 재정 일자리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층의 경우 사정이 다르다.
일자리 선택 시 미래 전망을 중시하는 청년층은 경기 둔화와 맞물려 신입 채용 축소, 제조업·도소매업 취업자 감소 등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난달 청년 인구는 21만5000명 감소했으나, 취업자는 23만5000명 줄어 감소폭이 더 컸다.
이에 따라 청년층 고용률은 44.3%로 전년 대비 1.7%p 하락했다. 실업률도 7.0%로 0.5%p 상승해 고용 상황 악화를 방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청년층이 몰리는 산업군에서의 일자리 축소와 불확실한 경제 환경은 취업 의지를 꺾고 있다”며
“고용 회복의 체감은 청년들에게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