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SFTS 감염 우려에 참진드기 감시 시작…예방이 최선

0
질병관리청,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참진드기, 진드기 감시, 진드기 예방, 진드기 감염, SFTS 치명률, 백신 미개발, 야외활동 주의
(사진 출처- 나무위키)
질병관리청,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참진드기, 진드기 감시, 진드기 예방, 진드기 감염, SFTS 치명률, 백신 미개발, 야외활동 주의
(사진 출처- 나무위키)

질병관리청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계절을 맞아 참진드기 발생에 대한 전국 단위 감시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감시 사업은 질병관리청 질병대응센터와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거점센터가 협업해 전국 23개 지점에서 수행된다.

SFTS는 4월부터 11월까지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될 수 있으며, 5~14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내에서는 2013년 첫 환자 발생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환자 2065명 중 381명이 사망해 치명률이 18.5%에 이른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참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 단계에서 서로 다른 숙주에 기생하며 피를 빨아 생존한다.

봄철 따뜻한 날씨가 시작되면 약충이 활동을 시작하고, 여름철에는 성충이 산란을 하며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난다.

가을철에는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진드기 활동이 정점을 찍는다.

SFTS를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는 작은참소피진드기로,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참진드기 중 약 0.5%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진드기가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염된 개체에 물릴 경우 높은 치명률을 보이기 때문에 예방조치가 필수적이다.

질병관리청은 야외활동 시 긴소매, 긴바지, 목이 긴 양말을 착용하고, 풀밭에서는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권고했다.

귀가 후에는 샤워를 통해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고, 진드기를 발견한 경우 자가 제거하지 말고 반드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진드기의 주둥이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할 경우 2차 감염 위험이 있다고 설명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봄철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참진드기와의 접촉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농작업이나 등산 후에는 반드시 샤워하고 작업복은 세탁해 진드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참진드기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선 전문가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감시 사업을 통해 수집한 참진드기 발생 정보를 감염병 포털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고, SFTS 예방을 위한 홍보 및 교육 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