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그림체로 화제된 챗GPT, 국내 일일 이용자 125만명 돌파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며 국내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을 넘어섰다.
데이터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125만 2,925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0일 103만 명을 돌파한 이후 불과 2주 만에 세운 기록이다.
불과 한 달 전인 1일에는 79만 9,571명에 그쳤던 수치다.
이러한 급증은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새롭게 출시한 이미지 생성 기능 ‘챗GPT-4o 이미지 생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모델은 이용자가 텍스트 명령 없이도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사용자의 얼굴을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이 SNS를 중심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브리 그림체로의 이미지 변환이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의 명작으로 유명한 일본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을 적용한 이미지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급속히 확산됐다.
오픈AI는 실제로 이용자들에게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 생성을 권장하고 있으며, 샘 올트먼 CEO도 자신의 엑스(X) 계정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바꾼 바 있다.
그는 “어느 날 아침 수백 명이 지브리 스타일의 내 사진을 보내왔다”고 전하며,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의 인기와 파급력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챗GPT-4o 이미지 생성’은 심슨, 스머프, 레고 등 유명 콘텐츠 화풍으로도 변환이 가능하며, 애니메이션 스타일 전환 외에도 캐릭터 생성, 감성 삽화 제작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인기를 뒤따라 각종 부작용과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는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이미지 생성 기능의 사용이 폭증하면서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이미지 생성 AI 연산량 증가에 따른 GPU 자원 부족을 시사하는 것으로, 오픈AI는 일시적으로 해당 기능의 사용을 제한하기도 했다.
또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기능을 중심으로 저작권 침해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
AP통신과 NHK 등 외신은 오픈AI가 해당 스타일의 훈련에 지브리 스튜디오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무단으로 사용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용 허가 없이 이미지 학습에 활용되었다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지브리 팬들은 SNS를 통해 오픈AI의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이 원작자의 창작권을 침해했다며 비판을 제기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지 생성 앱을 저작권 침해로 신고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미지 생성 AI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챗GPT는 기술의 진화와 함께 새로운 활용 가치를 제공하면서도 창작자의 권리 보호라는 윤리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오픈AI는 향후 라이선스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어떻게 해소할지 주목되고 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