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0만원 갈치구이’ 논란 확산…오영훈 지사 “바가지요금 근절, 상생할 것”

0
갈치
(사진출처-freepik)
갈치
(사진출처-freepik)

제주도는 최근 전국적인 이슈로 떠오른 ‘갈치구이 1인당 10만원’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에 나섰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제주관광의 고비용 이미지가 제주경제의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면적인 인식 전환과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1일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4월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오 지사는 하계 항공 스케줄이 적용되기 시작한 이번 주가 제주 관광 회복의 분수령”이라며 관광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그는 “제주관광이 비싸다는 인식의 대표적인 예로 갈치구이가 지적되고 있다”며 “1인분에 7만 원에서 10만 원까지 형성된 가격은 ‘1회전 객단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오 지사는 “제주는 회전율이 낮은 지역이 아니다”라며 “더 많은 관광객이 합리적인 가격에 만족할 수 있도록 가격 체계를 조정하는 것이 더 지속 가능하고 실질적인 관광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단순히 가격을 낮추는 것이 목적이 아닌, 합리적인 가격 책정과 음식 낭비를 줄이는 친환경적인 방향이 궁극적으로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주 관광산업의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갈치구이 1인분에 10만 원”, “성게미역국이 5만 원”이라는 관광지 가격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제주관광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져 왔다.

이에 대해 오 지사는 “도민과 상생할 수 있는 관광 환경을 만들기 위해 자정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관광업계와의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개선책 마련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

또한 오 지사는 관광객 회복을 위해 정치·사회적 안정이 중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현재 국가적 혼란이 국민 불안 심리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관광 수요 회복은 쉽지 않다”며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을 통해 정치적 안정을 되찾아야 제주경제도 회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는 최근 항공사와의 협력으로 하계 스케줄 조정과 항공 좌석 확대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 유입 증가에 대비해 공항, 교통, 숙박 등의 수용체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오 지사는 “관광정책은 가격이나 서비스 한 가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구조와 인식 전환이 병행되어야 한다”며 “도민과 관광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건강한 제주 관광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도는 관광물가 조정 외에도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다회용기 사용 캠페인 확대, 지역 전통시장과 연계한 투어 프로그램 개발, 외식업 가격 공시제 등 다양한 정책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