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케릭터와 채팅을? 네이버웹툰 AI 캐릭터챗, 원작 열람·결제율 모두 증가

네이버웹툰이 개발한 AI 챗봇 ‘캐릭터챗’이 웹툰 소비 확대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네이버웹툰은 캐릭터챗 이용자의 작품 열람과 결제율이 상승했다는 내부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AI 기술과 IP를 결합해 몰입형 감상 경험을 제공한 것이 원작 소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사례다.
캐릭터챗은 웹툰 속 캐릭터의 말투, 성향, 세계관 정보 등을 학습해 실제 캐릭터와 대화하는 듯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AI 챗봇이다.
지난해 6월 4개 캐릭터로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 누적 이용자 수 335만 명, 메시지 수 7000만 건 이상을 기록하며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현재는 총 12개의 캐릭터 챗봇이 운영 중이다.
웹툰 ‘별이삼샵’의 ‘설효림’ 캐릭터챗 이용자의 경우, 챗봇 출시 전후 일주일 기준으로 원작 열람 회차 수가 9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열람자 수는 29%, 결제자 수는 22%, 매출액은 44% 늘어났다.
웹툰 ’99강화나무몽둥이’의 ‘러브’ 캐릭터챗 이용자 역시 열람 회차 수 77%, 열람자 수 20%, 결제자 수 12%, 매출액 31% 증가라는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캐릭터챗은 앱 전반의 이용률 향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캐릭터챗 이용자를 대상으로 2개월간 앱 내 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앱 방문일 수 8%, 작품 열람일 수 7%, 열람 작품 수 11%, 신규 열람 작품 수 32%, 열람 회차 수 8%, 결제 금액 4%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캐릭터챗이 단순 대화 도구를 넘어, 플랫폼 전체의 콘텐츠 소비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날 추가된 신규 캐릭터챗도 주목된다.
‘귀혼’의 ‘천령’ 캐릭터는 운세 보기 기능을 제공하며, ‘시월드가 내게 집착한다’의 ‘테르데오’ 캐릭터는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호칭과 말투가 달라지는 기능이 탑재돼 몰입감을 높였다.
네이버웹툰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캐릭터챗의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효정 CPO는 “이번 분석을 통해 캐릭터챗을 통한 작품 감상 경험 확대가 원작 소비와 새로운 작품 탐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선순환을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바탕으로 캐릭터챗 종류를 꾸준히 늘릴 계획”이라며,
“AI와 IP 결합의 시너지가 계속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도전적인 실험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