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을 전면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는 최근 국가정보원(국정원)과 행정안전부(행안부)가 딥시크의 개인정보 과다 수집 문제를 지적하며 공공기관 내 접속 차단을 권고한 것에 따른 조치다.
울산시는 지난 6일부터 시청과 중구·북구청을 시작으로 전 구·군청 및 산하 공공기관에서 업무용 PC를 통한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이번 조치는 공공기관에서의 정보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딥시크는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강력한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갖춘 챗봇 서비스다.
그러나 이 서비스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과다하게 수집한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국정원과 행안부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보안 점검을 강화했다.
국정원은 국가 안보 및 공공기관의 정보 보호를 위해 공공부문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마련했고, 행안부 역시 이에 대한 공문을 각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 전달한 바 있다.
이에 울산시는 국가적 보안 지침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즉각적인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딥시크의 안정성이 충분히 검증될 때까지 공공기관에서는 접속을 차단할 방침”이라며 “향후에도 공공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공공기관 및 기업들의 도입이 늘고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안 문제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개인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공공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울산시는 딥시크뿐만 아니라 챗GPT를 비롯한 기타 생성형 AI 서비스의 보안성을 점검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감시 및 보안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향후 공공기관에서의 AI 활용 방식에 대한 정책 변화도 예상된다.
울산시는 “생성형 AI의 기술적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가 최우선이라는 점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AI 기술 발전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공공기관 내 AI 활용에 따른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울산시의 딥시크 차단 조치는 AI 기술 발전과 보안 문제 사이에서 공공기관이 취해야 할 균형점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AI 기술은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데이터 유출과 보안 침해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울산시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들도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진행 중이며, 향후 국가 차원의 통합된 보안 지침이 마련될 가능성도 크다.
울산시는 앞으로도 AI 관련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공공기관 내 AI 활용에 따른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앞으로 공공기관에서 생성형 AI 서비스의 활용 여부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되며, AI 기술과 보안 정책 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