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멈춘 지 35분… 의료진의 헌신과 가족의 염원이 만든 기적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심장이 35분간 멈췄던 80대 환자가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2개월여의 치료 끝에 건강을 회복하고 퇴원한 환자와 보호자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의료진에게 감사를 전했다.
18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일 오전 10시쯤
경기도 파주시 자택에서 샤워 중이던 권모(84) 씨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
치매를 앓고 있던 권씨를 돌보던 아들이 발견해 즉시 119에 신고했다.
권씨는 평소 진료를 받던 경기도 고양시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됐으나,
검사 결과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긴급 수술이 필요한 상태였다.
이에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 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으로 전원됐지만,
도착 당시 이미 심장이 멈춘 상태였다.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송석원 교수팀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으나,
35분이 지나도록 심장은 다시 뛰지 않았다.
아들이 “아버지가 오랫동안 치매를 앓으셨다. 마지막으로 제대로 된 대화를 해본 지 너무 오래됐다”며 오열하던 순간, 기적처럼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
의료진은 이를 놓치지 않고 곧바로 복부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술을 진행했다.
3시간에 걸친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며,
환자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후 약 3주 뒤 일반 병실로 이동했다.
이후 심폐 기능 회복과 재활 치료를 거쳐 지난 14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이 감동적인 사연은 아들이 퇴원하며 의료진에게 남긴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의료진들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알려졌다.
송 교수는 “매일 초응급 환자를 치료하지만, 이렇게 35분 동안 멈췄던 심장이 다시 뛰어 살아난 경우는 극히 드문 사례”라며 “환자의 아들이 간절히 염원한 덕분에 기적이 일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서 송 교수는 “이번 일을 통해 대동맥혈관을 치료하는 의사로서 사명감과 큰 보람을 다시금 느꼈다”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대동맥 환자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