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단일노선도 40년 만에 전면 개편…한눈에 보기 쉬워진다

서울지하철의 각 호선을 개별적으로 표시한 단일노선도가 40년 만에 전면적으로 개편된다.
이번 개편은 단순한 디자인 변경을 넘어, 서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과 고령자 등 다양한 이용자층이 지하철 이용에 더 편리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정보 전달력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서울시는 16일, 지하철 1~9호선의 단일노선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해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전동차와 역 내 주요 공간에 부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1974년 지하철 1호선 개통 이후 처음으로 시도되는 단일화 작업으로, 기존 노선도에 비해 시각적 가독성과 정보 접근성을 한층 높인 형태로 구성된다.
그동안 단일노선도는 역 위치나 방향, 환승 정보, 지자체 경계 등 필수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색각이상자나 고령자,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는 기존 노선도가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는 요인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이용자 불편 해소를 위해 환승 정보, 역 번호, 관광 명소 등을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자인과 정보 구조를 전면 재정비했다.
이번 개편 노선도는 지하철 기둥 등에 부착되는 가로형, 스크린도어용 정방형, 열차 내 부착용 세로형 등 총 3가지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환승 노선의 구분을 색약자도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등 원리(빨강·노랑·초록 등 고대비 색상)를 적용해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각 역의 번호는 물론, 노선의 방향성과 종착역 정보도 명확하게 기재해 외국인들이 직관적으로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서울의 지리적 상징요소들도 추가된다.
서울과 타 지자체의 행정 경계선, 한강, 주요 분기점 등은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반영되며, 서울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 14곳에는 픽토그램이 함께 적용된다.
예를 들어, 서울시청역에는 시청 아이콘이, 명동역에는 쇼핑백 그림이 삽입돼 시각적으로 명소에 대한 안내가 동시에 이뤄진다.
이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국내 초행객도 명소 탐방이 보다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단일노선도 전면 개편은 지난 2023년부터 서울시가 시행해온 지하철 정보 디자인 혁신의 연장선에 있다.
서울시는 이미 1~9호선 23개 노선, 총 624개 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전체 노선도를 국제 표준 디자인인 ‘8선형’ 구조로 정비한 바 있으며, 그 결과 역 찾기 소요 시간은 최대 55%, 환승역 길 찾기는 최대 69%가량 단축되는 성과를 거뒀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이번 신형 단일노선도는 디자인과 정보 전달력을 모두 갖춘 혁신적 작업”이라고 전했다.
이어 “전동차, 승강장 뿐 아니라 다양한 시각홍보 매체 및 관광 굿즈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범용성을 고려해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개편된 단일노선도를 지하철 차량 및 주요 역사에 부착하고, 향후 모든 노선과 시설에 일괄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개편은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서울의 지하철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