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애도 속 진해군항제 축소 개최…불꽃쇼는 전격 취소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지에서 산불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 최대 벚꽃축제로 알려진 제63회 진해군항제를 예정대로 개최하는 창원시의 결정이 논란에 휩싸였다.
창원시는 27일, 산불 피해로 인한 국가적 재난 상황을 고려해 진해군항제를 축소된 형태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축제는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창원시 진해구 일원에서 열리며, 사전에 계획됐던 행사들 가운데 일부는 조정되거나 취소된다.
특히 이충무공 승전기념 불꽃쇼는 예정대로라면 4월 2일 진해루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창원시는 해당 행사를 전격 취소했다.
산불 희생자에 대한 애도의 의미로 개막식과 각 공식행사 시작 전에는 묵념 시간을 마련하기로 했다.
진해군항제는 지난 2023년 420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할 만큼 국내 대표 벚꽃축제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에는 벚꽃 개화 시기를 맞추지 못해 방문객 수가 303만 명으로 줄었지만, 올해는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를 것으로 기대돼 다양한 콘텐츠와 공연이 준비돼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이어지는 대형 산불로 인해 창원시는 축제 취소도 논의했으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수개월 간 준비해온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 축소 개최를 선택했다.
시는 축제를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국가적 재난 상황이라 고민이 많았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진해군항제의 정신인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국난을 극복하고, 시민과 국민이 하나 되는 행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시민과 누리꾼들은 “전국이 산불로 고통받고 있는데 굳이 축제를 해야 하느냐”는 비판적 반응을 보이며, 축제 개최 자체가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